[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매뉴얼 어긴 훈련병 사망 사고, 엄정 수사하고 재발 없어야

'협력할 것과 차이' 보인 한·중·일, 동북아 신냉전 풀어야

억울한 죽음·항명죄, 채 상병 특검법은 21대 국회 책무다

한·일·중 '협력 제도화' 합의, 역내 긴장 완화 첫발 뗐다

▲ 서울신문 = 잇단 군 인명사고, '안전 나사' 풀린 것 아닌가

우주항공청 출발 늦었어도 '우주 강국' 새 역사 써주길

협력 복원한 한일중 정상회의, 정례화·실천 따라야

▲ 세계일보 = 기약 없이 미뤄지는 PA간호사 합법화, 정부 약속 지켜야

연발하는 훈련병 사고, 장병 안전 수칙 있기나 한가

"3국 협력 복원" 합의, 북핵 대응은 아쉬운 한·중·일 정상회의

▲ 아시아투데이 = K-방산 위용 이어갈 한국형 사드 '엘샘'

역내 평화·안정은 한·일·중 공통 핵심 이익

▲ 조선일보 = 방폐장·반도체법, 여야 합의된 민생 법은 처리해야

성과와 함께 아쉬움도 남긴 韓日中 정상회의

여야가 뒤바뀐 듯한 풍경

▲ 중앙일보 = 중국, 한일중 정상회의까지 재 뿌린 북한의 실태 직시해야

정책 주도권 잃고 허둥지둥 … 국민의힘 여당 맞는가

▲ 한겨레 = 라인 지분매각 요구 아니라며, 일본 대변하는 대통령

규정 어긴 '얼차려'에 훈련병 사망, 엄정히 책임 물어야

공보만 신경, 장병 안전은 뒷전이었던 임성근 사단장

▲ 한국일보 = 어느 시대인데… 얼차려 받다 군 훈련병 사망이라니

벌써 꿈틀대는 의대 지방유학… '수도권 유턴' 제한 병행돼야

'한반도 비핵화' 못 담은 한중일 정상, '협력'은 복원

▲ 글로벌이코노믹 = 실질소득 까먹는 먹거리 물가

미래 협력 물꼬 튼 한·일·중 정상

▲ 대한경제 = EU의 인프라투자가 저성장 우리나라에 주는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 한목소리 못낸 한·일·중 정상회의

▲ 디지털타임스 = 끝내 '사상 최악' 21대 국회, 22대도 그러면 국민 저항 각오해야

심상찮은 中 '제조 굴기'… 이대로면 韓 반도체도 뺏긴다

▲ 매일경제 = 잇단 훈련병 사망 사고…불안해서 자식 軍 보내겠나

정쟁만 벌인 21대 국회, 경제 살릴 법안이라도 처리하길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끝내 北 위협 거론 안한 中

▲ 브릿지경제 = 청년 나이 '39세' 등 상향 추진, 문제는 없겠나

▲ 서울경제 = 당내 '종부세 완화' 의견에 다짜고짜 때리는 巨野 강성 지지층

北 정찰위성 발사 위협, 中에 '한반도 비핵화' 건설적 역할 주문하라

한일중 "FTA 협상 가속화"…경협 확대하되 과도한 의존은 줄여가야

▲ 이데일리 = 기대 큰 우주항공청 출범, 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써야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대중 관계 복원의 모멘텀 되길

▲ 이투데이 = 서울 정상회의서 北 감싼 중국, 갈 길 멀다

▲ 전자신문 = 마이크로 LED 역전을 기대한다

▲ 파이낸셜뉴스 = 공동 실익 위해 한일중 정상회의 정례화해야

정쟁에 밀린 민생법안, 이대로 폐기하고 말텐가

▲ 한국경제 = 한·일·중 FTA 협상 재개 전에 따져봐야 할 것들

탈원전 암흑 딛고 SMR로 일어선 두산

일리 있는 정부 전세사기 대책, 野 '선 구제 후 회수' 철회해야

▲ 경북신문 = 경주 찾은 APEC 실사단… 감탄한 이유

▲ 경북일보 = 잇단 사망사고 석포제련소 안전 감독 철저히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