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 소년원 등 학교 밖 청소년 물질중독 예방사업 추진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는 오는 6월24일부터 11월29일까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청소년 활동시설, 소년원 등 관련기관을 대상으로 청소년 물질중독 예방사업을 추진한다.

 교육은 강의식에서 벗어나 함께 참여하고 공감하는 연극 형태의 예방교육으로, 대마·신종 마약·유해 화학물질 등을 주제로 1시간여동안 진행된다.

 또 전문가가 기관을 방문해 진행하는 ‘찾아가는 예방교육’도 실시한다.

교육신청은 6월3일 오전10시부터 경기도마약퇴치운동본부 누리집(http://ggdrugfree.or.kr)에서 선착순 접수한다.

도 관계자는 “이 교육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이 약물오남용을 근절할 수 있는 건전한 가치관 형성과 유해한 물질중독에서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자기 통제력, 결단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약물.마약 등 중독 예방활동이 어려우므로 청소년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신청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 단백질이 서로 소통하며 독성을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미희 교수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영호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윤경·임성수 박사 공동 연구팀은 최근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 단백질 중 하나인 타우 단백질의 '미세소관 결합 부위'(MBD)가 다른 원인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와 상호작용해 세포 독성을 완화할 수 있음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 단백질과 신경세포 외부에 있는 아밀로이드 베타가 각각 신경섬유다발,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 형태로 비정상적으로 응집·축적돼 발생한다. 두 단백질은 서로 다른 세포 구획에서 병리적 구조물을 형성하지만 세포 내·외부에서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병의 진행 과정에서 이들의 상호작용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팀은 타우 단백질이 미세소관(세포 내 수송로)과 결합하는 부위 중 일부가 아밀로이드 베타와 결합해 '타우·아밀로이드 베타 복합체'를 만든다는 것을 확인했다. 아밀로이드 베타 자체는 독성이 강한 딱딱한 섬유 형태지만, 타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