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공백 속 작년 응급실 찾은 손상 환자 57% 급감

입원·사망률은 높아져…질병청 "경증환자 방문 줄었기 때문"
환자 9명 중 1명은 자해·폭력 탓…음주 환자의 38% 차지
청소년 자해·자살 증가…영유아는 가구·고령층은 낙상 조심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병원 운영에 차질이 빚어졌던 지난해 응급실을 찾은 손상 환자가 50%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의  '2024년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23개 조사 참여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 환자는 지난해 8만6천633명으로 전년 대비 57.4% 줄었다.

 다만 응급실 내원 손상 환자 중 입원한 환자의 비율은 23.7%로 7.6%포인트 올랐고 사망률도 2.6%로 1.4%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받아주는 병원을 찾아 전전하는 '응급실 뺑뺑이'가 큰 사회 문제가 됐던 점을 고려하면 '경증 환자 감소'로만 응급실 환자 급감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손상 원인의 성격을 살펴보면 전체 환자 9명 중 1명(11.1%)이 자해·자살이나 폭력·타살 등 의도적인 행위로 다치거나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손상 비율이 10%를 넘은 것은 2006년 조사 이래 처음이다.

 특히 자해·자살 환자가 전체 손상 환자의 8.0%를 차지했는데 이는 10년 전인 2014년 2.2%와 비교하면 3.6배 수준이다.

 또 2014년에는 자해·자살 환자 중 10∼20대의 비율이 26.7%였으나 작년에는 39.4%로 높아졌다.

 질병청은 "이는 청장년층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의도적인 행위로 인한 손상은 음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상태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거의 10명 중 4명(38.6%)이 의도적 행위로 손상을 입은 사례였다. 자해·자살이 24.9%, 폭력·타살이 13.7%를 차지했다.

 반면 비음주 상태인 환자의 대부분(91.8%)은 비의도적 행위로 손상을 입어 응급실을 찾았고 의도적 행위로 인한 손상 환자 비율은 7.9%에 그쳤다.

 질병청은 "음주 상태에서는 의도적 손상 발생 비율이 비음주 상태보다 약 5배 높았다"며 "음주에 대한 경각심 제고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체 손상 환자의 발생 유형을 보면 추락·낙상(40.0%)이 가장 많았고 이어 둔상(15.2%), 운수사고(15.1%) 등의 순이었다.

 운수 사고의 경우,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를 포함한 '기타·미상 육상 운송수단'의 비율이 2014년 0.4%에서 지난해 12.5배 수준인 5.0%로 급증했다.

 보호장비 착용률은 오토바이 헬멧 74.2%, 안전벨트 71.2%, 카시트 55.2%, 자전거 헬멧 16.2% 등이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전체 손상 환자의 19.3%로 2006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특히 낙상 사고에서 70세 이상 환자 비율이 35.3%로 높았다.

 소아·청소년 환자의 경우 1세 미만은 가구에서의 추락 등을 특히 주의하고, 1∼2세는 차량 탑승 시 카시트 사용, 3∼6세는 놀이나 등·하원 경로에서의 안전 강화, 7∼12세는 자전거 헬멧 착용을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질병청은 당부했다.

 또 13∼18세는 오토바이 사고나 자살 목적의 약물 중독 손상 위험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이번 통계는 청소년기 자해·자살 증가와 가정·생활공간에서의 손상 위험 등 심각한 사회·의료적 과제를 담고 있다"며 "연령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예방 교육과 환경 개선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정강이뼈 뒤로 얼마나 기울었나' AI가 자동으로 측정
무릎 관절의 안정성 등에 관여하는 정강이뼈(경골)가 뒤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촬영된 무릎 관절 측면 엑스레이 영상 1만여건을 바탕으로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골 후방 경사각은 종아리 안쪽에 있는 경골을 옆에서 볼 때 관절이 얼마나 뒤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무릎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평소에 십자인대를 다칠 위험이 크고, 무릎 인공관절 수술 예후도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같은 환자라도 측정하는 사람이나 무릎 엑스레이 촬영 각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수술 예후 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릎 엑스레이 영상에서 무릎뼈의 해부학적 기준점 6곳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준점을 이용해 경골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