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주기 불규칙한 심부전 환자, 6개월 내 재발 위험 2배"

美 연구팀 "규칙적 수면 유지하는 게 효율적인 심부전 증상 재발 예방법"

 심혈관 질환 등으로 심장이 제 기능을 못 하는 심부전(heart failure)을 앓고 회복 중인 환자가 잠들고 깨는 시간이 불규칙할 경우 6개월 내 증상이 재발할 위험이 2배 이상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 대학(OHSU) 브룩 셰이퍼 박사팀은 지난 25일 미국심장병학회 학술지 JACC 어드밴시스(JACC Advances)에서 심부전 환자 30여명을 대상으로 수면 주기의 규칙성과 증상 재발 연관성을 추적 관찰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셰퍼 박사는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것은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하다"며 "이 연구는 수면 시간의 일관성이 심부전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심부전을 앓고 회복 중인 환자들의 급성 악화 심부전을 막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22년 9~2023년 10월 OHSU 병원 등에 급성 악화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퇴원 후 1주일간 잠든 시각, 아침에 깬 시각, 낮잠 잔 시각 등을 통해 수면 규칙성을 조사하고 6개월간 증상 재발 여부를 관찰했다.

 참가자 평균 나이는 62.6세였고,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32.8㎏/m, 심부전을 앓은 평균 기간은 6.2년이었다.

 참가자들은 수면 규칙성 지수(SRI)가 87%보다 큰 경우 규칙적 수면 그룹으로, 87% 이하이면 중등도 이상 불규칙 수면 그룹으로 분류됐다. SRI 87% 이하는 매일 취침 및 기상 시간이 1~2시간 이상 들쭉날쭉한 경우를 의미한다.

 6개월간 추적 결과 32명 중 21명이 심부전 증상이 재발할 것으로 나타났다. 21명 중 13명은 중등도 불규칙 수면 그룹이었고 8명은 규칙적 수면 그룹이었다.

 연구팀은 이는 중등도 이상 불규칙 수면 그룹의 퇴원 6개월 내 심부전 증상 재발 위험이 규칙적 수면 그룹보다 2배 이상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런 위험 증가는 수면 장애와 다른 기저 질환  같은 요인을 고려해도 마찬가지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는 심부전 환자 맥락에서 수면 규칙성의 영향을 조사한 첫 연구 중 하나라며 규칙적인 수면 주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연구 근거를 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셰퍼 박사는 "이 연구는 수면 규칙성과 심혈관 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더욱 강화해 준다"며 "수면 규칙성을 개선하는 것은 심부전 환자들의 증상 재발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저비용의 치료 접근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JACC: Advances, Brooke M. Shafer et al., 'Effect of Posthospitalization Sleep Regularity on Clinical Events in Adults With Heart Failur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772963X2500534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업계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업체 인센티브 필요"
제약업계가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업체에 대한 공식 인증 등 공급지원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과 희귀·필수의약품 긴급도입 기간 단축 방안 등을 건의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8일 서울 중구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환자단체, 의·약사 단체, 제약사와 '의약품 공급지원을 위한 현장 소통 간담회'에서 이런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희귀·필수의약품 공급지원 확대 방안 및 센터 기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센터의 공급지원 사업 현황 및 환자단체 등의 건의·애로사항을 들었다. 환자단체는 최근 공급중단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던 의약품의 공급계획 안내를 요청했다. 식약처는 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함께 희귀질환 의약품을 적시에 공급하고 환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희귀의약품을 신속하게 도입하고 환자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국가필수의약품에 대한 원료·완제의약품의 기술개발과 국내 제약사를 통한 위탁생산을 활용해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급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희귀·필수의약품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업계, 환자단체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적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정강이뼈 뒤로 얼마나 기울었나' AI가 자동으로 측정
무릎 관절의 안정성 등에 관여하는 정강이뼈(경골)가 뒤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촬영된 무릎 관절 측면 엑스레이 영상 1만여건을 바탕으로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골 후방 경사각은 종아리 안쪽에 있는 경골을 옆에서 볼 때 관절이 얼마나 뒤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무릎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평소에 십자인대를 다칠 위험이 크고, 무릎 인공관절 수술 예후도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같은 환자라도 측정하는 사람이나 무릎 엑스레이 촬영 각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수술 예후 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릎 엑스레이 영상에서 무릎뼈의 해부학적 기준점 6곳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준점을 이용해 경골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