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1일 조간)

▲ 경향신문 = 의대 지역인재선발 확대, 지역 정착·필수의료 답 찾아야

합헌 난 종합부동산세, 여야는 흔들지 말라

사흘 새 오물 풍선·방사포·전파 교란, 북 긴장 고조 멈춰야

북한의 저강도 도발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 서울신문 = '반도체 전쟁' 중에 파업한다는 억대 연봉 삼성전자

野 또 '채 상병 특검법'…공수처 수사 더 중요해졌다

역대급 의대 지역인재, '면허 먹튀' 안 되게 법제화를

▲ 세계일보 = 美 의원의 '韓 전술핵 재배치' 제안 국익 위해 검토할 만하다

헌재 안동완 검사 탄핵 기각, 野의 사법 방해 책임 물어야

의대 입시 전형 확정됐는데 '원점 재검토' 고집하는 의사들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헌재 결정 존중해 탄핵 남발 멈춰야

전술핵 재배치, 북핵 대응 '새로운 옵션'

▲ 조선일보 = 서울 신혼부부에 싼값 주택, 나라 전체를 출생 친화적으로

정략적 검사 탄핵도 기각, 탄핵 정치 안 된다

李 한 사람 위한 당헌 개악 입법 폭주, 제왕적 총재 때도 없던 일

▲ 중앙일보 = 북한의 저열한 오물 풍선 도발, 대비 태세 문제없나

1조3808억원 재산분할, 최태원·노소영 이혼소송 파장

▲ 한겨레 = '보복기소' 검사 탄핵 기각 헌재, 공소권 남용 부추기나

민주당 국회의장 선출에 당원투표 반영, 적절치 않다

'거부권' 신기록 세운 윤 대통령, 22대 국회 내내 이럴 건가

▲ 한국일보 = 헌재 검사 탄핵 기각 유감이나… 공소권 남용 경고 새겨야

'지구당 부활' 추진… '돈 선거' 우려 없게 차분한 논의를

북 오물풍선 전파교란 이어 미사일까지, 국민은 불안하다

▲ 글로벌이코노믹 = 지연

▲ 대한경제 = 국가 미래 캄캄한 최악의 합계 출산율

22대 국회 시작, "민생에는 여야 없다" 자세로 임해야

▲ 디지털타임스 = '70세 직원' 시대 日… 우리도 늦기전 고용연장 공론화 나서야

악법 폭주에 '이재명당' 돼가는 민주당, 이러고도 공당인가

▲ 매일경제 = 송전망 부족해 툭하면 풍력발전 멈추는 현실

끝내 위헌논란 법까지 만들어 전 국민에 돈 뿌리겠다는 민주당

종부세 합헌 결정 나왔지만 재산세와 합치는게 옳다

▲ 브릿지경제 = 삼성 첫 '파업 브레이크', 하필 이럴 때 밟으려 하나

▲ 서울경제 = 野 포퓰리즘과 정쟁을 조장하는 입법 밀어붙이기 멈추라

오물 풍선·GPS 교란·미사일…北 연쇄 저질 도발 노림수 읽어야

종부세·상속세, 국제 기준과 경제 살리기에 초점 맞춰 개편해야

▲ 이데일리 = 비대면진료 참여 의사 70% '긍정적'… 제도화 서둘러야

불붙는 반도체 세계 대전, 파업 선언한 삼성전자 노조

▲ 이투데이 = 北 도발, '공포의 균형' 논의 부채질할 것

▲ 전자신문 = 우주청, 우주개발 역사 새로 쓰길

▲ 파이낸셜뉴스 = 초격차 혁신으로 삼성 위기론 극복할 때

의대 정원 확정, 의사들 병원으로 돌아와야

▲ 한국경제 = 우주산업,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으려면

反시장·反자유 법안 '벌떼 재발의' 선언한 巨野의 오만

미국 강타한 '국채 쇼크' … 섣부른 경제 낙관론 경계해야

▲ 경북신문 = 22대 국회 1호 법안 특검법?… 정신 나간 국회

▲ 경북일보 = 경북 포항·구미 투자 이어져…기업친화도시로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