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부터 라면까지…고물가 속 편의점서 얻는 '천원의 행복'

1천원 미만 상품 속속 출시…초저가 구매 심리 자극

 고물가 속에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편의점에서 1천원을 밑도는 상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상품은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점심값 상승)에 시달리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CU는 지난달 990원짜리 자체 브랜드(PB) 스낵 '990 매콤 나쵸칩'과 '990 체다 치즈볼' 등 2종을 출시했다.

 지난 2월에는 880원짜리 편의점 최저가 PB 컵라면인 '880 육개장 라면'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기존 브랜드 용기면보다 20% 이상 저렴한 가격이다.

 이 상품은 출시 두 달 만에 누적 판매량 40만개를 넘어서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CU 관계자는 "한 달 앞선 지난 1월 선보인 1천원의 매콤어묵 삼각김밥과 묶어 2천원이 채 안 되는 가격에 가볍게 점심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런치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직장인들로부터 인기를 끌었다"고 설명했다.

 CU는 이외에 400원짜리 바 형태 아이스크림 '400바', 1천원 가격의 콘 아이스크림 '1000콘'과 같은 초저가 상품도 선보였다.

 현재 CU가 판매하는 1천원 미만 상품 수는 780여개로 2021년(850여개)보다 약 8.2% 줄었다. 식품을 포함한 생활 물가가 전방위로 오르는 추세와 맞물려 관련 상품 가격도 상승한 탓이다.

 상품 수는 줄었지만, 이를 찾는 손길은 더 잦아졌다. 1∼5월 기준 1천원 미만 상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3% 증가했다.

 매출 상위 1∼5위 상품 가운데 라면과 생수 같은 생필품이 3개나 들어간 것도 고물가로 짙어진 초저가 소비 패턴을 반영한 것으로 CU는 분석했다.

 다른 편의점도 극강의 가성비를 갖춘 상품에 힘을 주고 있다.

 GS25은 지난해 11월 990원짜리 PB 컵라면 '면왕'을 출시한 데 이어 지난달 10일에는 1974 우유 200㎖를 내놓으며 초저가 소비 심리를 자극했다.

 기존 컵라면 상품 대비 중량은 22% 늘리면서도 가격은 1천원 밑으로 묶은 '역슈링크플레이션'(가격은 그대로 두고 양을 늘리는 것) 상품으로 주목받은 면왕은 지난달까지 80만개가 팔려나가면서 판매량 100만개 돌파 초읽기에 들어갔다.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의 경우 상시 운영하는 1천원 미만 PB 생필품은 드물지만 가격 할인, 1+1 등의 특가 행사나 묶음 할인 등을 통해 개당 상품 가격을 1천원 밑으로 낮추는 방식으로 초저가 경쟁에 동참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년 6개월만에 돌아온 의대생, 첫 수업은 '설렘반, 걱정반'
"어젯밤 병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떨려서 잠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병원 내 글로컬임상실증센터. 최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휴학했던 의대생이 속속 학업에 복귀하는 가운데 이날 부산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복귀 이후 첫 임상 실습 수업이 열렸다. 하얀 의사 가운을 입고 목에 청진기를 맨 학생 3명은 다소 어색한 표정으로 담당 교수와 함께 수업에 들어갔다. 부산대 의대 본과생들은 3∼4명씩 조를 나눠 지도교수의 감독 아래 외래, 병동, 수술실 등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수술실을 재현한 실습실에서 본과 3학년 송모(26)씨가 기도 삽관에 도전했다. 송씨가 환자 모형의 기도를 확보한 뒤 동기에게서 튜브를 건네받아 기관 안에 삽입했다. 이어 그럴듯한 모습이 완성되자 학생들이 기관 내 삽입한 튜브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해 여러 차례 눌렀다. 시술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풀어야 할 폐 모형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를 본 부산대 의대 부학장인 이정규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 경우 기도삽관이 잘못된 것이죠"라고 설명했다. 학생이 머쓱한 표정을 짓자 이 교수는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며 "다만 응급 환자에게는 바로 적용해야 하는 시술이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