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2일 조간)

▲ 경향신문 = 민생·안보 비상인데 '반쪽·식물' 국회, 조기 정상화하라

임대차법 없애자는 국토부 장관, 전세 안정 대책이 먼저다

대통령 순방 따라 지금 안보실장·1차장 다 나라 비울 땐가

당명에서 '민주' 떼야 할 거대 야당의 의회 폭주

▲ 서울신문 = 건설업계 손사래 친 가덕도 공항, 속도전 재고를

또 터진 음대 입시 비리, 이것뿐이겠나

국회 틀어쥔 巨野, 이제 검찰·사법부 통제인가

▲ 세계일보 = 또 터진 음대입시비리, 뒷북대책만 내놔선 근절 못 한다

푸틴 방북해 무기거래할 거면 "한·러 관계 회복" 꺼내지 말라

상임위 싹쓸이 '이재명 국회' 만든다고 사법리스크 없어지나

▲ 아시아투데이 = 부정선거 의혹 수사하고 사전투표제 폐지해야

▲ 조선일보 = 논란 더 키운 국민권익위 '명품 백' 조사

美 '핵 확대' 선회하면 韓 '핵 확보' 기회 찾아야

건설사도 외면한 가덕도 공항 공사, 재앙 될 수 있다

▲ 중앙일보 = 대통령실 눈치만 본 권익위의 맹탕 '명품백' 결론

이재명 대표는 집권해도 이렇게 일방통행만 할 건가

▲ 한겨레 = 소비부진 장기화에 자영업 위기, 정부 어디서 뭘 하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멈추라"는 안보리 결의 받아야

야당 상임위 독식도, 여당 보이콧도 자제해야

▲ 한국일보 = 차장 700억 대리 100억, 우리은행에서 또 터진 횡령

6개월 끌다 "배우자 처벌 조항 없다"… 특검 명분만 더 쌓여

민주당 독주에 사라진 정치… 국가 기능 부전 우려된다

▲ 글로벌이코노믹 = 국내 창업 생태계 조성 전제 조건

EU 의회 선거 민의는 자국 우선

▲ 대한경제 = '독주' 민주당, 대통령 거부권에 시비 걸 자격없다

암울한 건설수주 전망…정부 역할 더욱 중요해졌다

▲ 디지털타임스 = 국힘, 무능력이 巨野 '국회독재' 키운건 아닌지 맹성해야

툭 하면 터지는 우리은행 횡령사고, 금융감독 당국은 뭐했나

▲ 매일경제 = 불법과외한 학생에 높은 실기 점수…음대 비리교수 퇴출을

법관 처벌·판사 선출제 운운한 민주당, 사법부까지 겁박하나

자영업 연체율 11년만에 최고…최저임금 인상 신중해야

▲ 브릿지경제 = 유통업계 연합전선 구축, '윈윈'으로 가야 한다

▲ 서울경제 = 온갖 수단 동원해 사법체계 흔드는 巨野, 민주정당이라 할 수 있나

尹 중앙아시아 순방…자원 영토 확대와 시장 다변화 서둘러라

소상공인 98% "최저임금 인하·동결"…'과속 인상 역설' 되새겨야

▲ 이데일리 = 검찰·법원까지 전방위 압박… 민주, 삼권분립도 우습나

생산성 위기 경고한 한은… 문제는 혁신의 질에 달렸다

▲ 이투데이 = 국회 요직 싹쓸이한 巨野, 입법 독재 꿈꾸나

▲ 전자신문 = 韓 AI 반도체 정말 괜찮은가

▲ 파이낸셜뉴스 = 최저임금 '구분 적용·적정 인상' 결단해야

여행적자, K콘텐츠 특수 살리고 인프라 개선을

▲ 한국경제 = '견제와 균형' 저버린 민주당의 11개 상임위 독식

김건희 여사 관련 권익위 두줄 브리핑, 국민 납득하겠나

전 사업장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강제보다는 자율로 가야

▲ 경북신문 = 민주당, 11개 상임위원장 독식… 기고만장

▲ 경북일보 = 해오름동맹, 핵심 과제 우선순위 정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