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기레기·장사치' 막말하는 인권위원, 언제까지 봐야 하나

환자 곁 지키며 '신뢰 버팀목' 되어주는 의사들

정부 종부세·상속세 완화 예고, 지금 부자감세 속도 낼 땐가

종부세·상속세 완화, 방향 맞지만 충분히 논의 해야

▲ 서울신문 = 언론이 '검찰 애완견'이라는 거대 야당 대표

느닷없는 北 휴전선 장벽, 대체 어디로 가자는 건가

의사들이 외면한 집단휴진, 의협부터 쇄신하라

▲ 세계일보 = 北 휴전선 장벽에 푸틴 초청까지… 자멸 부를 도발 멈춰라

중산층 부담 키우는 종부세 폐지·상속세 개편 속도 내야

'검찰 애완견' 발언 李 대표, 檢·法 이어 언론까지 겁박하나

▲ 아시아투데이 = 쿠팡에 과징금 부과, 그런데 중국 업체는?

알차게 마무리된 尹대통령 중앙아 3국 순방외교

▲ 조선일보 = 대출 급증에, 심상치 않은 서울 아파트 가격

국회 정상화, 종부세 상속세 토론으로 시작해보길

휴전선 장벽으로 北 청년들 韓 동경 못 막아

▲ 중앙일보 =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위험한 언론관

종부세·상속세 개편, 방향 맞지만 여론 소통이 관건

▲ 한겨레 = 권익위, 김건희 여사 '면죄부' 관련 자료 즉시 공개해야

제4이동통신 무산, '묻지마 추진'이 자초한 정책 실패

"생명보다 의사증원 반대가 중하냐"는 의대교수의 쓴소리

▲ 한국일보 = 상속·종부세 중산층 부담 살피되 초부자는 신중해야

언론에 '검찰 애완견'이라는 이재명 대표의 인식

北 휴전선 일대 장벽 설치, 그 의도 뭐든 헛돈 쓰는 격

▲ 글로벌이코노믹 = EU도 중국산 EV에 관세폭탄

美 금리 '연내 1회 인하' 신중 모드

▲ 대한경제 = 과감한 자영업 구조개혁으로 경제 역동성 끌어올려야

정치가 밀어붙인 가덕도 신공항, 개항시점 재검토하라

▲ 디지털타임스 = 종부세·상속세 완화 환영… 세제 대수술로 경제활력 높여야

언론이 '애완견'인가… 조폭같은 이재명 대표의 막말

▲ 매일경제 = 푸틴 방북 임박…정부, 러·북 무기협력 막을 외교력 발휘해야

이재명은 언론 탓 말고 법원서 결백 입증해 보라

대통령실 "종부세 폐지·상속세 인하"… 與 국회 들어가서 공론화를

▲ 브릿지경제 = 현대차 인도 IPO 신청, 현지화 전략 기대 크다

▲ 서울경제 = "北 휴전선 장벽 건설" … '새로운 대응' 위협에 치밀하게 대비해야

대통령실 "상속세 인하·종부세 개편" …與野 세제 개혁 서둘러라

검찰·법원 이어 언론 때리기, '李 방탄' 위해 남 탓만 할 건가

▲ 이데일리 = 현실화한 기후 인플레, 강 건너 불 아니다

자원외교 성과 빛난 윤 대통령 중앙亞 순방

▲ 이투데이 = '종부세·상속세' 방정식, 여야가 협치로 풀어보라

▲ 전자신문 = 의사 파업 대신 대화 나서야

▲ 파이낸셜뉴스 = 과도한 상속세 개편 구체화, 여야 전향적 논의를

한계 자영업자 퇴출 도와 서서히 비중 줄여야

▲ 한국경제 = 또 제기된 배임죄 폐기론, 국회도 합리적 대안 낼 때

인도 최대 IPO 추진 … 글로벌 현대자동차의 힘

불붙은 종부세 폐지·상속세 인하 … 이번에 종지부 찍자

▲ 경북신문 = 답답한 원자력환경공단… 우찌 할꼬?

▲ 경북일보 = 경북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 최선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