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특보' 경기도 온열질환자 50명 넘어서…작년의 2배

 경기지역에 폭염특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도내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가 5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이달 19일까지 보고된 도내 온열질환자는 모두 5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환자(30명)의 약 2배이고, 전국에서 발생한 환자(264명)의 22%를 차지한다.

 지난 19일에만 화성, 남양주, 수원, 의정부, 파주 등 7개 시군에서 9명이 발생했다.

 온열질환 통계는 응급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 가운데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도내 93곳)이 폭염대책 기간인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신고한 환자에 한정된다.

 응급실에 이송되지 않거나 응급실에 이송되더라도 의료진이 다른 원인으로 판정하면 온열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제로 온열질환을 겪는 도민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볕더위가 이어지자 도내에서는 27개 시군에서 공무원 400명이 비상근무를 하며 취약계층 보호, 옥외 사업장 및 농작업 현장 관리 등을 추진하고 있다.

 119 폭염구급대 차량도 281대로 늘리고 실내 무더위쉼터를 554곳 추가 지정해 모두 8천288곳을 운영 중이다.

 특히 노인 맞춤돌봄서비스 대상 8만9천명을 대상으로 생활지원사 4천600명을 투입해 안전 확인 등 보호 조치를 강화했다.

 도내에는 이달 11일 용인에 폭염특보가 첫 발효된 이후 이날 현재 부천, 시흥을 제외한 29개 시군에서 폭염경보 또는 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도는 "해마다 심해지는 폭염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무더위 안전수칙을 꼭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경기도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