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미생물 '벌레르산나트륨', 폭음 줄여준다…생쥐 실험서 확인"

美 연구팀 "발레르산나트륨 먹은 생쥐, 알코올 섭취 40%·혈중알코올 53% 감소"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인 발레르산나트륨(sodium valerate)이 폭음을 줄여준다는 사실이 알코올 중독 생쥐 모델 실험에서 확인됐다.

 연구팀은 발레르산타트륨이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습관성 폭음을 줄이는 치료법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잭슨연구소(JAX)와 코네티컷대 공동 연구진은 과학 저널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서 알코올 중독 생쥐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짧은사슬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인 발레르산타트륨이 쥐의 폭음 행동과 혈중 에탄올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중독·과다복용 치료를 위한 새 약물 표적에 관심이 있다며 알코올 사용 장애가 널리 퍼져있음에도 미국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받은 치료용 약물은 디설피람과 아캄프로세이트, 날트렉손 경구용(1994년) 및 서방형 주사제(2006년) 등 세 가지뿐이라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또 발레르산나트륨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폭음이 줄어들 뿐 아니라 불안이나 접근 회피 같은 이상 행동도 감소했으며, 신경정신과 및 알코올 사용 장애와 관련이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 수치가 뇌, 대변, 혈액에서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발레르산나트륨이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감정 조절과 관련이 있는 뇌 편도체에서 신경 염증, 신경 전달, 미토콘드리아 조절,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 유전자 발현이 크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발레르산나트륨이 뇌의 여러 신호 경로를 통해 알코올 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잭슨 연구소 제이슨 부비어 박사는 "폭음이 장-뇌 상호작용을 통해 중독 주기를 가속하는 방식으로 장내 미생물 군집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며 이 결과는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생물학적 설명과 함께 잠재적 치료법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 출처 : Microbiome, Yanjiao Zhou et al., 'Short-chain fatty acid valerate reduces voluntary alcohol intake in male mice', https://microbiomejournal.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40168-024-01829-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대동맥류 환자, 10여년새 3배로…"스텐트시술 생존율 높여"
대표적 노인성 혈관 질환인 복부 대동맥류(AAA) 환자가 최근 10여년 사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4천148명에서 2022년 1만3천169명으로 약 3.2배로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배 속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대동맥이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주요 원인은 혈관 벽을 약하게 하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다. 특히 고령의 남성에서 다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하다.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복부나 등,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에 쿵쿵 뛰는 듯한 박동감을 느끼는 것도 대표적인 의심 신호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대부분 대동맥이 파열하기 직전이거나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조기 진단을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기 검진으로 미리 발견해야 한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복부 대동맥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인공 혈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