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하는데 0.2초…일단 5∼6초 멈춰보자"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 사회 지도층 상대로 선명상 강의

 "욱하고 화내는 시간이 0.2초라고 합니다. (중략) 감정이 요동쳐 행동하기까지의 시간은 6초 이내라고 합니다. 화가 났다 싶으면 적어도 5∼6초 동안 우선 멈춤을 해주는 게 좋아요."

 국민 정신건강을 위한 대중적인 선(禪)명상 프로그램을 준비 중인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사회 지도층 인사를 모아놓고 이렇게 당부했다.

 26일 조계종에 따르면 진우스님은 전날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사회 리더를 위한 선명상 아카데미'에서 '우선 멈춤'을 마음을 다스리고 고통에서 벗어나는 기본 요령의 하나로 꼽았다.

 진우스님은 주 1회씩 8차례에 걸쳐 법문을 펼치고 선명상을 하는 방법을 소개할 계획이다.

 

 이날 강의에는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 이기흥 대한체육회장,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등 사회 각계 인사 350여명이 청중석에 자리했다고 조계종은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