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에만 4조5천억원…제약업계 기술수출 실적 호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올해 상반기 기술 수출 분야에서 지난해 상반기를 웃도는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월 제약·바이오 업계 기술 수출 규모는 최소 4조5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비공개 계약 건이 있어 정확한 계산은 어렵지만, 공개된 계약 건을 기준으로 하면 지난해 같은 기간 2조9천억원보다 55% 증가한 수치다.

 이 달에 체결된 기술 수출 계약 3건만 봐도 모두 총액 5천억원 이상이다.

 에이프릴바이오는 미국 신약 개발 기업 에보뮨에 자가 염증 질환 치료 후보물질 'APB-R3'을 기술 이전하면서 약 6천600억원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 상품화 이후 판매 로열티는 별도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 HK이노엔, 와이바이오로직스 등 3사도 미국 신약 개발 기업 네비게이터 메디신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 물질 'IMB-101'의 기술을 이전하는 1조3천억원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

 지놈앤컴퍼니는 스위스 제약사 디바이오팜에 항체-약물접합체(ADC) 물질 'GENA-111'을 기술 이전하는 5천800억원 규모 계약을 맺었다.

 ADC는 항체(antibody)와 약물(drug·payload)이 링커(linker)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그 외 아리바이오, 넥스아이, LG화학도 1∼3월 글로벌 제약사와 경구용 치매치료제, 면역항암제, 희귀비만증 신약후보물질의 기술을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알테오젠도 같은 기간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피하 제형 제품 상업화를 위한 플랫폼 기술을 세계적 제약사 MSD에 제공하는 계약을 맺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약업계 기술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데 대해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 경쟁력이 크게 성장했다는 의미"라며 "외국 기업이 원하는 전략적 파이프라인을 한국 제약·바이오 업체가 갖춘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스맥스 "한국인 피부 상재균 연구…피부분석 알고리즘 개발"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기업 코스맥스는 15년간 한국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상재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피부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코스맥스는 지난 2011년부터 이어온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마치고 피부 진단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 플랫폼 '페이스링크'(FACE-LINK™) 개발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페이스링크는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코스맥스의 독자 플랫폼으로 2022년 처음 개발된 후 현재까지 누적 데이터가 늘어나면서 알고리즘 정교화 과정을 거쳤다. 한국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특성을 96% 이상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코스맥스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을 위해 지난 5년간 단국대학교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전문기업 휴앤바이옴과 함께 한국인 1천명의 피부 상태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표본을 피부 특성과 연령 등 12개 유형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25%는 피부에서 건조함과 유수분 보충 부족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15%는 피부 탄력과 톤에 문제를 갖고 있었다. 표본 30%는 이 두 가지 피부 문제를 모두 갖고 있었다. 종합적인 피부 문제를 가진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10대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