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제로, 먹는물 기준 충족'…아리수 품질보고서 발간

 서울시는 수돗물 아리수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유해 물질은 나오지 않았고, 먹는 물 수질기준을 모두 충족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시는 수질검사 결과를 담은 '2023 아리수 품질보고서'를 발간했다.

 시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 항목(166개)보다 많은 352개 항목에 대해 검사를 진행했다.

 이밖에 풍부한 미네랄(평균 39.6㎎/L)이 함유되어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한강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 '좋음(Ⅰb)' 등급에 해당했다.

 이 보고서는 서울아리수본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시 전역에 행정동별 수질 자동 측정기를 설치하고 총 527개 지점에 대한 아리수 수질 정보를 서울아리수본부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다.

 집 수돗물 수질이 궁금하다면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통해 무료로 검사와 수도관 점검을 받을 수 있다.

 신청은 국번 없이 120번(다산콜재단), 관할 수도사업소, 서울아리수본부 홈페이지에서 하면 된다.

 한영희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시민들이 언제나 깨끗하고 안전한 아리수를 마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연구팀 "산모 환경호르몬 노출, 자손 후각 발달 악영향"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내분비계 교란물질에 산모가 임신기 및 수유기에 노출되면 자손의 정상적인 후각 신경 발달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부산대는 분자생물학과 정의만 교수 연구팀이 임신 중 초기 신경 발달 시기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이 후각 신경 및 후각 신경의 기원인 뇌실하 영역에서 세포사멸을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고 그로 인해 냄새 탐지 능력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체내 호르몬의 정상 기능을 교란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이 물질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화장품, 캔, 플라스틱, 페인트, 의약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인간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면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돼 왔다. 정 교수팀은 알킬페놀 계열의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옥틸페놀이 마우스의 후각 신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후각 신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뇌 발달이 활발히 진행되는 임신기부터 수유기까지 어미 마우스에 옥틸페놀을 투여해 자손 마우스가 옥틸페놀에 노출되도록 했으며, 이를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며 영향을 분석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