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억제했더니…수명 20% 이상 증가"

싱가포르 연구팀 "항IL-11 치료, 수명 연장 효과…사람 적용 가능성"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중 하나가 노화와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험 결과 이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면 늙은 쥐의 건강이 개선되고 수명이 20%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국립대 스튜어트 쿡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염증을 매개하는 신호 단백질 중 하나인 'IL-11'의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약물로 억제하는 생쥐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생쥐에서 확인된 IL-11 억제의 건강 효과가 사람에게도 적용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현재 IL-11 억제가 섬유성 폐 질환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초기 단계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 결과 생쥐에서 노화가 진행될수록 IL-1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L-11 수치가 증가하면 노화와 관련된 신호 경로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년기 생쥐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IL-11 유전자를 제거하자 신진대사 저하와 다양한 질병, 허약성 등 노화 징후가 예방됐으며, 암수 모두 수명이 평균 24.9%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항체를 투여해 IL-11의 작용을 차단한 암수 생쥐는 신진대사와 근육 기능이 개선되고 노화 및 허약 징후가 감소했다.

 사람으로 치면 55세에 해당하는 75주된 생쥐에 항 IL-11 약물을 지속해서 투여하자 수컷은 수명이 22.4%, 암컷은 25% 늘어났으며, 노화 관련 암 발생률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종합하면 항 IL-11 치료가 노화가 진행 중인 동물의 건강을 개선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 치료법이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는 현재 섬유 염증성 질환에 대한 초기 단계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인 항 IL-11 치료법이 잠재적으로 사람의 수명과 건강수명도 연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Stuart Cook et al., 'Inhibition of IL-11 signalling extends mammalian healthspan and lifespa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701-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음주가 체중 감량에 도움?…"과장·거짓 건강정보 주의"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술을 마시면 살이 빠진다"는 등의 잘못된 건강 정보 게시물이 확산하고 있다며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올바른 정보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개발원에 따르면 최근 "미국 하버드대 연구 결과 적당한 음주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의 게시물이 온라인상에서 많은 공감을 얻으며 재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버드대의 권위를 차용해 연구 결과를 과장한 정보라는 것이 개발원의 설명이다. 게시물에서 언급한 연구는 하버드대에서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일본 성인 5만7천여 명을 대상으로 음주 습관 변화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음주 후에 이른바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수치는 증가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다만 보고서에서 체중 감소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며, 연구자들은 과도한 음주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체중 감량이 HDL 수치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다수 있지만, 반대로 HDL 수치 증가가 체중 감량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다고 개발원은 설명했다. 오히려 알코올 1g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희귀질환자 눈물닦는다…신약 고속도로 열고 의료비부담 낮춰
수억 원에 달하는 약값과 기약 없는 기다림에 지쳐있던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이 비치고 있다. 정부가 환자들의 오랜 염원에 응답하며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의료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국가책임 강화 방안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단순히 비용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환자들이 적시에 최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신약 등재 기간 90일 단축…'고속도로' 열린다 보건복지부와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희귀중증 질환자의 치료비 부담 완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데,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신약의 신속한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고속도로'가 깔린다는 점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평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약가 협상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절차는 환자들에게 너무나 긴 시간이었다. 정부는 이 세 가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는 '허가-평가-협상 연계 시범사업'을 본사업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신약이 환자에게 도달하는 시간을 최대 90일까지 단축할 계획이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하루가 급한 환자들에게 이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다. ◇ 소득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