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이상 고령소비자 건강식품·이동통신 피해상담 많아"

소비자연맹 분석…해외여행 관련 상담 1년 새 4배로 급증

 한국소비자연맹은 고령층 인구 증가와 맞물려 최근 60대 이상 소비자의 불만·피해 상담 건수가 크게 늘었다고 16일 밝혔다.

 2022∼2023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을 분석한 결과 전체 소비자 상담 건수는 1년 새 8.1% 감소한 데 반해 60대 이상 소비자 상담은 7만4천991건에서 7만6천180건으로 1.6% 늘었다.

 고령자 상담 건수가 전체 소비자 상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4.3%에서 15.8%로 상승했다. 6건 중 1건 비율이다.

 건강식품은 무료 사은품을 보내주겠다고 한 뒤 본 제품을 함께 발송해 구매대금을 물리는 사례와 섭취 후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동전화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계약 또는 약관 사항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현금 제공을 미끼로 통신사 또는 상위 요금제로의 변경을 권유하는 사례가 주를 이뤘다.

  또 치과에서는 병원 휴·폐업으로 치료가 중단됐음에도 선납한 치료비를 환불받지 못하거나 소비자 사정으로 치료를 중단했을 때 환불을 거부하는 피해 사례가 다수 접수됐다.

 이밖에 실손보험은 갱신 시 고령을 이유로 갑자기 보험료를 올리거나 보험사에서 보험료 지급을 거절해 피해를 봤다는 상담이 많았다.

 2022년 대비 지난해 상담 건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는 해외여행, 커피, 항공여객운송서비스 등이었다.

 특히 해외여행은 1년 새 상담 건수가 286건에서 1천116건으로 4배로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고령층 상담을 초래한 판매 방법은 TV홈쇼핑(48.8%)과 전화 권유 판매(27.8%)가 전체 70% 이상을 차지했다.

 소비자연맹은 "고령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려면 고령자를 겨냥한 광고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해당 연령대 특성을 반영한 소비자 교육 및 촘촘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연맹은 고령 소비자의 피해 발생 품목과 내용을 분석해 관련 부처에 피해 예방 및 구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을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자동응답시스템(ARS)이나 '챗봇' 등으로 상담이 어려운 고령층을 위해 전국 8개 권역 소비자연맹에 방문 상담 센터를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