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끼고 물놀이하면 안돼…"염증으로 각막 손상"

  여름철 물놀이를 할 때 안경 대신 콘택트렌즈 착용하시는 분 많으시죠.

 그런데 렌즈를 낀 채로 물에 들어가면 자칫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휴가철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착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계곡이나 강물에 들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눈에 염증을 일으키기 쉬운데요.

 또 수영장 물에 들어있는 염소를 비롯한 여러 화학물질이 콘택트렌즈에 묻으면 각막이 손상될 수 있죠.

 임동희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미생물들이 렌즈에 쉽게 달라붙어서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 각막염이나 세균성 각막염, 아메바 각막염 같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콘택트렌즈 대신 도수가 있는 물안경을 쓰는 게 더 안전하다"고 말했습니다.

 가시아메바 각막염에 걸리면 시력 저하는 물론 심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한경은 이대목동병원 안과 교수는 "자연환경 어디에나 존재하는 가시아메바는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 표면에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면서 "아주 심한 경우에는 안구를 적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굉장히 위험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물놀이할 때 부득이 콘택트렌즈를 착용했다면 물안경을 써서 물과의 접촉을 줄여주는 게 좋은데요.

 물놀이가 끝난 뒤에는 콘택트렌즈를 꼭 새것으로 교체해 줘야 합니다.

 눈이 가렵거나 충혈되고 이물감이 느껴지면 곧바로 렌즈를 빼고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임동희 교수는 "일회용 콘택트렌즈가 다회용보다는 감염 위험이 더 낮다"면서 "다회용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매일 렌즈를 세척하고 보존액을 교체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어 "감염성 각막염이 발생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사회적 건강과 스트레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 다스리기에 관해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더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개인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건강'의 위기가 심각해 총체적 개선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나'만 있고 '우리'는 없는 사회로 가고 있어 그 과정에서 고립된 개인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OECD 자살률 1위, 항생제 남용 1위, 낮은 행복지수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거 경제 제일주의에 근거해 초경쟁적으로 살아온 결과, 미세먼지, 화학물질 오남용(ex-가습기 살균제 사건), 분노조절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많은 정신분석학자는 SNS에서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여주는 경향이 있어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과 스트레스,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경고한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필자는 SNS가 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