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끼고 물놀이하면 안돼…"염증으로 각막 손상"

  여름철 물놀이를 할 때 안경 대신 콘택트렌즈 착용하시는 분 많으시죠.

 그런데 렌즈를 낀 채로 물에 들어가면 자칫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휴가철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착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계곡이나 강물에 들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눈에 염증을 일으키기 쉬운데요.

 또 수영장 물에 들어있는 염소를 비롯한 여러 화학물질이 콘택트렌즈에 묻으면 각막이 손상될 수 있죠.

 임동희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미생물들이 렌즈에 쉽게 달라붙어서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 각막염이나 세균성 각막염, 아메바 각막염 같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콘택트렌즈 대신 도수가 있는 물안경을 쓰는 게 더 안전하다"고 말했습니다.

 가시아메바 각막염에 걸리면 시력 저하는 물론 심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한경은 이대목동병원 안과 교수는 "자연환경 어디에나 존재하는 가시아메바는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 표면에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면서 "아주 심한 경우에는 안구를 적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굉장히 위험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물놀이할 때 부득이 콘택트렌즈를 착용했다면 물안경을 써서 물과의 접촉을 줄여주는 게 좋은데요.

 물놀이가 끝난 뒤에는 콘택트렌즈를 꼭 새것으로 교체해 줘야 합니다.

 눈이 가렵거나 충혈되고 이물감이 느껴지면 곧바로 렌즈를 빼고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임동희 교수는 "일회용 콘택트렌즈가 다회용보다는 감염 위험이 더 낮다"면서 "다회용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매일 렌즈를 세척하고 보존액을 교체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이어 "감염성 각막염이 발생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먹는 코로나 치료제 약국 재고 점검…"개선 모색"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중 하나인 '팍스로비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질병관리청이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임숙영 차장이 6일 서울시 소재 조제약국과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해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중증 환자 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다. 질병청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약국 등에 공급하다가 지난 6월부터 약국 및 의료기관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는 시중 유통체제로 전면 전환됐다. 환자 본인 부담금은 한 팩(30정)에 4만7천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비용까지 합산하면 약값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약이다. 현행 체제에선 약국이 먼저 제약사에 약값을 지불한 뒤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실제로 약이 판매되면 환자와 공단에 약값을 청구해서 받아야 한다. 약이 팔리지 않으면 제약사에 반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워낙 약값이 비싼 탓에 애초에 물량을 많이 구비해두는 약국이 적은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이 경우 환자가 조금만 늘어도 금방 재고가 동날 수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