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0일)

[오늘의 증시일정](10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주)아스트[067390](BW행사 9만6천169주 500원)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주식회사[288330](주식전환 2만1천897주 5천480원)
    ▲ 바이온(주)[032980](유상증자 875만주 800원)
    ▲ 성호전자(주)[043260](유상증자 71만3천266주 1천402원)
    ▲ (주)제이시스메디칼[287410](주식소각)
    ▲ (주)에이프로젠[007460](CB전환 438만2천120주 1천141원)
    ▲ (주)파인디앤씨[049120](CB전환 313만6천529주 1천84원)
    ▲ (주)중앙첨단소재[051980](CB전환 4만8천782주 709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9일) 주요공시]
    ▲ 코아시아[045970] "코아시아세미코리아 주식 130억원에 추가취득"
    ▲ 하이트론[019490]씨스템즈, 45억원 유상증자...신동승씨에 3자배정
    ▲ 웨스트라이즈 "자회사 인크레더블대부 주식 300억원에 추가취득"
    ▲ 오하임앤컴퍼니[309930] "종속회사 쓰리디아이 주식 50억원에 추가취득"
    ▲ 최수연 대표, 네이버 주식 2억원어치 추가 매입…"책임 경영"
    ▲ 삼영이엔씨[065570], 30억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SK에코플랜트, 美 어센드 엘리먼츠 지분 매각…1천316억원 규모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분만취약지 지원에도 산부인과 의사 감소…돈만으론 해결 안돼"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분만취약지 내 의료기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 산부인과 의사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지역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한 의료인력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장원모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하고, 시설·장비비와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60분 내 분만 의료 이용률이 30% 미만이거나, 60분 내 분만할 수 있는 의료기관에 접근 불가능한 인구 비율이 30% 이상인 곳 등이 분만취약지로 지정된다. 연구에 따르면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정책이 시행된 후 가임기 여성 1천명 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도리어 3.39명 줄었다. 전일제로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0.083명 늘었으나, 시간제 근무 전문의 수가 3.47명 감소하면서 증가분을 상쇄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시행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