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당부…"벌초·성묘 때 조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13일 추석 명절을 맞아 벌초나 성묘할 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연구원이 올해 들어 8월 말까지 접수된 SFTS 의심환자 194건을 검사한 결과 50세 이상 8명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도내에서 2021년 26건(전국 172건), 2022년 40건(전국 193건), 2023년 38건(198건)의 SFTS 환자가 발생했다.

 SFTS는 해당 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데, 평균 18.5% 정도의 치명률을 보이는 중증 질환이다.

 매개충인 진드기는 풀이 많은 장소뿐 아니라 야생동물이 사는 모든 환경에 널리 분포하기 때문에 가을철 야외 활동 때 기피제를 사용하고 긴 소매에 긴 바지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줄여야 안전하다.

 귀가 후에는 즉시 옷을 세탁하고 샤워를 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2주 이내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귀 뒤나 무릎 뒤, 팔 아래 등 진드기가 숨어 흡혈할 수 있는 부위를 꼼꼼하게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