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은 이제 가을 아닌 '여름'…낮 최고기온 평균 '31도'

기상관측 사상 9월 최고기온 평균이 30도 넘은 적은 처음
광주 35.7도까지 올라 사흘 연속 '9월 기온 신기록'…고창은 36.1도
추석날까지 더위·열대야 이어져…비 내려도 '무용지물'

 이쯤 되면 9월 날씨의 신기원이라고 할만하다. 9월은 이제 가을이 아닌 여름으로 여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9월 전반이 끝나는 15일에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9월 최고기온 신기록'이 다시 갈아치워졌다.

 대표적으로 이날 광주 낮 기온이 평년기온보다 8.4도나 높은 35.7도까지 올라 지난 13일 이후 사흘 연속으로 1939년 5월 지역 기상관측 시작 이래 9월 최고기온 기록이 경신됐다.

 전남 목포도 이날 최고기온이 34.3도를 기록해 지난 10일 세워진 역대 9월 최고기온 1위 자리가 닷새 만에 바뀌었다.

 전북 임실(최고기온 33.9도)·고창(36.1도)·순창(36.3도), 전남 영광(34.8도)과 진도(34.7도) 등에서도 9월 최고기온 신기록이 새로 작성됐다.

 9월 최고기온 2위가 바뀐 지역도 충남 서산(33.4도)·보령(34.7도)·부여(35.3도), 충북 청주(35.2도), 전북 군산(34.2도)·전주(35.0도)·장수(32.7도), 전남 여수(33.3도)와 해남(34.2도) 등 많았다.

 늦더위가 끝나지 않으면서 이달 기온 기록은 '전대미문' 수준이다.

 이달 1~14일 전국 평균 기온은 26.1도로,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후 부동의 1위다. 2위(2010년 24.4도)를 1.7도나 웃돈다.

 1~14일 일최고기온 평균은 31도에 달한다. 이 기간 일최고기온 평균이 30도를 넘은 적은 52년간 한 번도 없었다. 2위 값(1998년 29.5도)과 비교하면 이달 평균이 1.5도나 높다.

 일최저기온 평균은 22.3도로 역시 1위이며, 2위(2010년 21.3도)와 1도 차다.

 고기압 영향권에 놓인 데다가, 동해 쪽 고기압과 제주 남쪽 동중국해를 지나는 제13호 태풍 버빙카 사이로 고온다습한 바람이 불면서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당분간 수도권·충청·남부지방·제주 등 폭염특보가 내려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체감온도가 최고 33~35도 안팎에 달하는 더위가 이어질 전망이다.

 추석 전날인 16일 아침 최저기온은 19~27도, 낮 최고기온은 26~35도겠다. 추석인 17일도 22~27도와 30~34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밤에는 열대야가 이어지겠다.

 한가위 밤도 열대야인 지역이 많을 전망이다.

 동풍이 불어 강원영동에 16일 오후까지, 경상해안과 제주에 16일 밤까지 비가 이어지고 이외 시간과 지역엔 소나기가 올 때가 있겠다.

 비나 소나기에 기온은 일시적으로 떨어지지만, 무용지물이 될 전망이다. 습도가 오르면서 더위가 식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미경 박사팀은 충남대 약대 박상민 교수팀과 공동으로 한약 처방 '보중익기탕'이 면역항암제(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제)를 도와 면역을 조절하는 원리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보중익기탕은 인삼과 백출, 황기 등으로 구성된 처방으로 허증(虛證) 치료에 사용된다. 알레르기 질환부터 암에 이르기까지 면역조절 장애로 인한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기존 연구에서는 보중익기탕이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과를 강화할 수 있음이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면역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등 면역시스템 전반에 미치는 조절 기제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보중익기탕과 함께 인삼·황기·백출·감초 등 보중익기탕을 구성하는 한약재를 T세포·B세포·NK세포·대식세포·수지상세포 등 면역세포에 처리한 뒤 리보핵산(RNA) 전사체(유전체에서 전 사되는 RNA 총체)를 분석했다. 총 180개에 달하는 세포 샘플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하고 각 세포에서 보중익기탕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별 면역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B세포·대식세포·수지상세포에서 면역 관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드물지 않은 응급상황 '산후출혈'…"고령산모 더욱 주의해야"
최근 종영한 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 생활'에서는 출산 직후 위급한 산후출혈(분만 후 출혈) 상황에 대응하는 의료진의 분투가 현실적으로 그려졌다. 응급상황에서 아기와 산모 모두를 살리기 위해 많은 의료진이 대응에 나서는 모습은 출산이 단순한 축복의 순간을 넘어 엄연한 의학적 위기일 수 있음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대한모체태아의학회(회장 박중신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에 따르면 산후출혈은 분만 직후 또는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출혈량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상태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자연분만은 500mL 이상, 제왕절개는 1천mL 이상의 출혈을 '산후출혈'로 정의한다. 대표적인 원인은 자궁이 충분히 수축하지 않는 자궁 무력증이다. 정상적인 분만 과정에서는 태반이 자궁벽으로 분리될 때 자궁근층이 수축하면서 출혈량을 조절하지만, 이게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출혈이 계속되는 것이다. 보통 출혈이 1천mL 이상이면 수혈, 중환자실 입원 등의 조치가 필요하고, 심한 경우 자궁 적출로 이어질 수도 있다. 통계적으로는 전 세계 산모 6명 중 1명꼴인 1천400만명이 매년 산후출혈을 겪는 것으로 집계된다. 또 산모 사망 원인의 약 4분의 1이 산후출혈 때문이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