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도로에 한국형 주소 도로명판 설치된다…해외 첫 사례

행안부 장관 22∼24일 울란바토르 방문해 K-주소 체계 전파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한국형 주소 체계(K-주소)로 된 도로명판이 설치된다.

 행정안전부는 이상민 장관이 몽골에 한국형 주소 체계를 전파하고 디지털정부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24일까지 울란바토르를 방문한다고 22일 밝혔다.

 양국은 올해 5월 한국이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 사업을 지원하고,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서울에서 체결한 바 있다.

 행안부는 'K-주소 기반 몽골 주소 체계 현대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이 장관은 울란바토르 '서울의 거리(서울로)'에서 열리는 '서울로(SEOUL street)' 한국형  도로명판 설치 제막식에 참석해 K-주소 해외 진출을 대내외에 공표한다.

 이번에 설치된 '서울로' 도로명판은 해외에서 한국형 주소체계가 반영된 도로명판을 설치한 첫 사례로, K-주소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행안부는 기대하고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한국의 도로명 주소 체계는 다른 국가처럼 건물에 사용하는 주소 뿐만 아니라 사물주소(시설물)와 공간주소(공터)를 도입해 더 촘촘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국제표준우수사례에도 반영됐다.

 이 장관은 "울란바토르시에 설치된 한국형 도로명판은 국제표준에서 인정한 K-주소를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에 적용하는 출발점"이라며 "몽골의 주소 체계 현대화에 협력하고, 주소 관련 신사업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 장관은 몽골 내각관방부 장관을 만나 몽골 디지털 신분증(ID) 구축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사업 등 디지털정부 관련 협력 필요 사항을 논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이번 양해각서에는 디지털정부 관련 기업 협력 등의 내용이 포함돼 우리 정보기술(IT) 기업들의 몽골 진출 확대 계기가 될 것으로 행안부는 전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말기 진행암 환자의 임종 직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어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김정한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2002년~2021년 수집된 진행암 환자 51만5천여명의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실태를 분석했다.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가지 세균에 효과를 가진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데 강력한 효과 때문에 정상 세균까지 공격할 수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진행암 말기 환자는 실제 감염이 없어도 발열이나 염증 수치만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내성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은 물론, 더 고강도 항생제를 써야 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임종 전 6개월간 조사 대상의 절반 이상인 55.9%가 이러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시기를 ▲ 임종 직전 1주 ▲ 임종 직전 1~2주 ▲ 임종 직전 2주~1개월 ▲ 임종 직전 1개월~3개월 ▲ 임종 직전 3개월~6개월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살펴봤더니 광범위 항생제 사용률은 임종 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