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건강기록' 앱 기능 개선…자녀 의료정보 한 번에 조회

'약물 알레르기 확인·복약 알림' 서비스…의료기관 1천4곳 보유 기록 제공

 여러 기관에 흩어진 투약·진료·건강검진·예방접종 이력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나의건강검진' 앱의 기능이 대폭 개선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나의건강기록' 앱을 통해 '14세 미만 자녀 건강기록열람', '약물 알레르기 확인', '복약알림 서비스' 등 신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고 26일 밝혔다.

 정부는 2023년 9월부터 공공·의료기관 등에 흩어진 개인 의료데이터를 본인 동의 하에 손쉽게 조회·저장해 원하는 곳에 전송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계 플랫폼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가동하고, 나의건강기록 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약물 알레르기 확인 기능은 병원에서 진단받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약물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음식과 약물 알레르기 정보를 추가 입력해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갑작스러운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했을 때 의료진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해 신속한 처치를 받을 수 있다.

 복약알림 서비스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앱을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약국이나 병원에서 처방받은 투약정보를 불러와서 복약 일정대로 알림을 등록할 수 있다. 복약 관리가 특히 중요한 장기 치료 환자나 고령층이 유용하게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나의건강기록 앱을 통해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의료기관에 상급종합병원 16곳을 포함한 의료기관 144곳이 추가돼 의료기관 총 1천4곳이 보유한 본인 진료 기록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염민섭 원장은 "내년까지 전국 47개 모든 상급종합병원과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성공적으로 연계시켜 앞으로 더 많은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나의건강기록 앱을 통해 안전히 제공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검색해 설치할 수 있다. 이미 앱을 사용 중인 경우에는 앱 업데이트 절차를 거쳐 신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