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공식품, 당뇨 환자에게 위험…혈당 상승 초래 가능성"

美 연구팀 "전체 식단 중 초가공식품 많을수록 혈당 조절 안 돼"

 다이어트 탄산음료부터 특정 시리얼이나 햄과 같은 가공육까지 초가공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상승시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 캠퍼스 메리 슈타인하르트 교수팀은 19일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 저널(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에서 식단의 질과 식품 가공 정도가 성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임상 시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제2형 당뇨병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당뇨병 관리에서 식단의 중요성도 잘 알려졌지만, 식단의 질 및 식품 가공 정도가 이들의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분석 결과 체중 대비 초가공식품 섭취 비율이 높을수록 혈당 조절이 잘되지 않고, 자연식품 같은 최소 가공식품이나 가공되지 않은 식품의 비율이 높을수록 혈당 조절이 더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는 참가자의 경우 전체 식단 중 초가공식품 비율이 10% 증가할 때마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평균 0.28% 포인트 높아졌다.

 반대로 최소 가공식품 또는 가공되지 않은 식품의 비율이 10%씩 높아질 때마다 당화혈색소 수치는 평균 0.3%씩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이상적인 당화혈색소 수치는 7 미만이라며 초가공식품을 전체 식품 섭취량의 평균 18% 이하로 섭취하는 사람들이 이 수치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초가공식품은 첨가당과 나트륨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여기에 함유된 합성 향료, 첨가 색소, 유화제, 인공 감미료 등 인공 성분도 부분적으로 혈당 조절을 방해하는 원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어 식단의 질보다는 식품 가공 정도가 혈당 조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식품 가공 정도와 혈당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초가공식품이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조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Mary A. Steinhardt et al., 'Degree of Food Processing is Associated with Glycemic Control in African America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Findings from the TX STRIDE Clinical Trial', http://dx.doi.org/10.1016/j.jand.2024.10.00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