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치플레이션'에…배달 간편식으로 점심 먹는 직장인들

대형마트·슈퍼·편의점 '간편식 퀵커머스' 호황
"고물가 속 얇아진 지갑에 가성·시성비 고려"

 직장인 유모 씨는 최근 점심으로 편의점 간편식을 주문해 먹는 일이 부쩍 잦아졌다.

 외식 물가가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매일 외부 음식점에서 끼니를 해결하기가 부담스러워진 탓이다.

 음식을 배달시켜 먹고 나머지 시간은 휴식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는 물론 '시성비'(시간 대비 만족도) 측면에서도 만족한다고 유씨는 설명했다.

 27일 GS리테일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기준 편의점 GS25의 퀵커머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1% 늘었다.

 도시락을 비롯한 간편식 매출이 90.6%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치킨, 고피자 등의 즉석조리식품으로 매출 증가율이 146.9%에 달했다.

 특히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점심 시간대 오피스(사무실) 상권의 성장률이 눈에 띈다.

 해당 시간대 사무공간이 밀집한 지역에 있는 매장의 퀵커머스 매출은 다른 상권 매장보다 36.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간편식 퀵커머스도 호조세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3일까지 주문 1시간 이내 '즉시 배송'을 통한 냉동 간편식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증가했다.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밀키트(17%↑)와 일반 냉장 간편식(10%↑) 수요도 꾸준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사이 주문 건수가 30%대로 늘며 점심 대용 간편식의 인기를 입증했다.

 마찬가지로 점심 시간대 오피스 상권의 수요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서울 강남권의 주요 오피스 상권 가운데 하나인 학동역 인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점포의 즉시 배송 실적을 분석해보니 밀키트는 157%, 냉동 간편식은 104%, 일반 간편식은 70%의 매출 증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시간대는 정오부터 오후 1시 사이 주문 건수 증가율이 320%로 가장 높았고 오후 1∼2시 사이가 126%로 그다음이었다.

 이처럼 점심 시간대 직장인들 사이에 간편식 퀵커머스가 인기를 끄는 것은 우선 외식 물가 상승 탓이 크다.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지난달 외식비 가격 동향(서울 기준)을 보면 시민들이 많이 찾는 8개 주요 외식 메뉴 중 1만원 지폐 한장으로 먹을 수 있는 메뉴는 김밥(3천462원)과 자장면(7천308원), 칼국수(9천308원), 김치찌개 백반(8천192원) 등 4개에 불과했다.

 냉면(1만1천923원)이나 삼겹살(200g·2만83원), 삼계탕(1만7천269원), 비빔밥(1만1천38원) 등은 호주머니가 얇아진 직장인들에겐 이제 '넘사벽' 수준의 메뉴가 됐다.

 개인 취향과 시간 활용을 중시하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 직장인이 늘어난 것도 일부 영향이 있다고 업계는 본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컬리의 한 관계자는 "MZ 직장인들은 점심시간을 밖에서 보내기보다 원하는 건강식 메뉴를 간편하게 배달시켜 먹고 휴식하거나 동료들과 함께 취미생활을 하는 등의 시간 활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컬리도 간편식 중심의 퀵커머스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퀵커머스 브랜드 '컬리나우'를 출시하고서 지난 6월 서울 서북부 상권을 겨냥한 DMC점을 개설한 데 이어 이달 17일에는 강남 일대를 서비스 권역으로 둔 도곡점 운영을 시작했다.

 도곡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되는데 점심시간인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의 주문 비중이 40%로 가장 높다. 전체 매출에서 간편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이다.

 유통업계 일각에선 퀵커머스 시장이 간편식을 중심으로 더 커지고 업체 간 경쟁도 심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간편식 시장이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신규 사업자의 진입 등으로 간편식에 특화한 퀵커머스 경쟁이 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