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결핵 환자 10명 중 8명이 확진일부터 1년 내 완치"

건강보험심평원, 작년 상반기 결핵 적정성 평가…병원 63%가 1등급

 지난해 상반기 결핵에 확진된 환자 10명 중 8명은 1년 안에 완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1∼6월 결핵 진료분을 대상으로 한 결핵 적정성 평가(6차)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이번 6차 평가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치료 성공률을 분석한 결과, 작년 상반기에 결핵이 확진된 것으로 질병관리청에 신고된 환자 6천573명 중 78.3%가 1년 내 완치됐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결핵 환자 발생률이 2위, 사망률은 4위로 높다.

 2022년에야 OECD 가입 이후 27년 만에 결핵 발생률 1위를 면했다.

 다만 지속적인 결핵 예방·관리 정책, 적정성 평가를 통해 새로 결핵에 걸린 환자(신환자) 수는 2011년 인구 10만명당 78.9명에서 지난해 30.6명으로 줄었다.

권역별 결핵 적정성 평가 1등급 의료기관 분포현황

 권역별로 봤을 때 1등급 의료기관은 경기권(41곳)에 가장 많았다. 이어 경상권(36곳), 서울(28곳), 충청권(14곳), 전라권(12곳), 강원권(4곳), 제주(2곳) 순이었다.

 216곳 의료기관의 평균 종합점수는 94.3점이었다.

 이번 평가에서는 모든 평가지표의 결괏값이 5차 평가보다 향상됐다.

 결핵 관리에 중요한 내성 결핵을 진단하고 치료약제를 선정하는 데 쓰이는 통상 감수성 검사(92.9%)와 신속 감수성 검사(90.7%) 실시율은 각각 이전 평가 때보다 2.1%p(포인트), 4.8%p 올랐다.

 전미주 심사평가원 평가운영실장은 "6차 결핵 적정성 평가에서 등급 및 지표 결과가 모두 향상됐다"며 "이는 적정성 평가를 통해 의료기관의 표준화된 진료를 유도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번 평가 결과는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병원 평가 정보 이용방법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