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얼음 분석해보니…"온난화, 작년 말 이미 1.5℃ 접근"

英 연구팀 "CO₂농도와 기온 상승은 비례…기온, 파리협약 한계 근접"

 지난 2천년 동안의 남극 빙핵 분석에서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가 1700년대부터 지난해 말까지 이미 약 1.5℃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랭커스터대 앤드루 자비스 교수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서 남극 빙핵 데이터를 이용해 2천년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난화 관계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며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1.5℃ 온난화 한계에 더 접근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지구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로 제한하기로 다짐했다. 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산업화 이전 기준' 조건으로 1850~1900년 지구 기온 이상 데이터를 사용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1850~1900년 이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기준 1.5℃로 억제하는 노력을 평가하려면 더 타당한 기준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남극 빙핵 속에는 얼음이 형성될 때의 공기가 기포 형태로 포함돼 있으며, 이를 분석한 수천 년간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데이터가 구축돼 있다.

 연구팀은 먼저 1850년부터 2023년까지 데이터를 분석,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기온 상승 사이에는 선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는 것에 비례해 기온도 상승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1850년 이후 다른 요인들이 기온 변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후 확인된 이산화탄소와 기온 상승 간 선형 관계는 인간이 얼마나 많은 온난화를 초래했는지 평가하는 데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선형 관계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약 280ppm이었던 서기 13~1700년에 적용해 온난화를 추정한 결과, 2023년 말 온난화가 이미 1.49℃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는 기온이 파리협정 한계에 거의 도달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 1850~1900년을 기준선으로 사용하는 것은 당시 기온 관측의 불확실성과 이미 진행되고 있던 온난화를 고려하면 부정확할 수 있다며 이 연구의 온난화 추정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 것보다 정확성이 최고 30% 이상 높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어 이 접근 방식이 온난화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이외 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직접 정량화하지는 않지만 선형 관계 속에 이런 요인도 통합돼 있다며 이 관계가 온난화에 따른 기후시스템 변화를 추적하는 데 중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Geoscience, Andrew Jarvis et al., 'Estimated human-induced warming from a linear temperature and atmospheric CO2 relationship',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1-024-01580-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