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복숭아·레드샤인…대형마트, 신품종 과일 단독개발 공들여

3년간 산지 발굴도…"차별화 상품으로 경쟁력 높이고 농가와 상생"

 신선식품 경쟁력 강화에 나선 대형마트들이 매년 앞다퉈 새로운 품종의 과일을 개발해 선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과일 MD(상품기획자)가 농가를 찾아가 신품종 개발을 함께 연구하는가 하면 이를 업계 최초로 유통하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최근 들어 이색 과일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아진 데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이나 타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상품으로 각 마트를 차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달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지역 농가와 협력해 일반 단감보다 두 배 이상 큰 신품종인 '감풍단감'을 단독으로 선보였다.

 지난 2020년 첫선을 보인 '블랙위너수박'은 이제 여름철 롯데마트의 대표 상품이 됐다. 롯데마트가 종자 발굴부터 우수농가와 계약재배, 매장 판매를 아우른 단독 상품으로 과피(껍질)가 얇고 아삭한 식감과 높은 당도가 특징이다.

 매년 인기가 높아져 올해 여름 매출은 지난해보다 30% 늘었다.

 단독 유통은 아니지만 겨울철 맛볼 수 있는 복숭아를 선보이기 위해 산지 전문가인 '로컬 MD'가 3년간 산지 발굴에 나서기도 했다.

 3년 전만 해도 겨울 복숭아는 출하량이 적어 대형 유통사의 접근이 어려웠지만 담당 MD가 농가를 찾아 접촉해 지역 농협과 함께 선별 과정을 거쳐 상품화에 성공했다.

 상품 포장 규격은 많은 소비자가 맛볼 수 있도록 2입으로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이렇게 공수한 약 10여t(톤)의 겨울 복숭아는 출시 2주 만에 준비 물량이 완판됐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신품종 과일은 차별화된 쇼핑 경험이자 경쟁력이 되는 것은 물론 농가에도 안정적인 판로를 지원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신품종 과일을 단독 유통·판매하고 폭염과 강우 등 이상 기후에 잘 견딜 수 있는 신품종도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마트 e포도 연구소 레드샤인

 이마트 역시 과일 바이어들이 신품종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마트는 농가와 협력해 소량만 수확되던 겨울 복숭아를 지난해 일부 점포 테스트를 거쳐 올해 본격적으로 판매에 나섰고 이른 봄에 맛볼 수 있는 금황을 비롯해 그린황도, 옐로그린, 도원 등 품종을 늘렸다.

 지난해에는 겨울철 과일인 딸기를 7∼8월 여름에 즐길 수 있도록 선보였다. 금실 품종으로 스마트팜에서 인위적으로 겨울 날씨를 조성해 생산했다.

 겨울에 파는 금실 딸기보다 가격은 2∼3배 비싸지만, 여름에 단맛이 강한 딸기를 먹을 수 있어 인기가 높았다.

 한동안 큰 인기를 끈 샤인머스캣을 대체할 신품종 육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도 시도하고 있다.

 지난 2022년과 지난해에는 바이어가 직접 다양한 산지를 돌며 신품종을 매입하고 연구하는 '이(e)-포도 연구소'를 가동했고 올해 '포도미식' 프로젝트를 통해 넥스트(Next) 샤인머스캣'을 찾고 있다.

 지난해에는 경북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골드스위트, 루비 빛깔을 머금은 루비로망, 껍질째 먹는 적포도인 '레드샤인' 등을 선보였다.

 신품종 개발은 소비자의 흥미를 일시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과일 카테고리의 매출 규모를 키우고 농가의 판로도 확대할 수 있다고 이마트는 강조했다.

 실제 이마트에서 지난 2022년 국산포도 매출은 샤인머스캣이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이전인 2018년과 비교해 약 두 배 규모로 성장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신품종 상품화를 결정할 때는 고객들의 반응도 중요하고 지속 운영이 가능한지,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등도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농가들이 대개 신품종을 운영해 얻는 수익이 많지 않아 중도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며 "신품종을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농가와 함께 상생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e도포연구소_골드스위트 품종

 홈플러스도 옐로드림 천도복숭아, 도담 자두, 께오 망고 등 신품종 과일을 경쟁사보다 먼저 도입하며 고객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올해 여름 선보인 크고 단단한 도담 자두는 100t 물량이 판매됐고, 지난해 대형마트 3사 중 가장 먼저 선보인 옐로드림 천도복숭아의 올해 매출은 40% 늘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이색 과일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며 "신품종 과일은 쇼핑의 재미를 더해 주는 데다 20·30대 젊은 고객을 대형마트로 유입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