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2일 조간)

▲ 경향신문 = 당원 게시판 내홍하는 한동훈 여당, 쇄신은 공염불 됐다

한국 정부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들러리 설 작정인가

비트코인 과세 또 흔드는 여야, '감세 포퓰리즘' 멈추라

北의 국내 코인 탈취… 사이버 대응 역량 강화 서두르라

▲ 동아일보 = "한국 경제 힘든 늪"… 9년 만에 긴급성명 낸 16개 기업 사장단

與 당원게시판 논란, 韓 대표의 '그답지 않은' 처신

공천 개입, 인사 입김, 국책사업 관여… 끝없는 '명태균 아수라'

▲ 서울신문 = 깊어지는 경제 그늘… '비상 경제 내각' 꾸려야 할 판

주주 충실의무 확대, 경영권 보호장치도 함께 가야

'1심 유죄' 李의 공직선거법 개정 주장, 몰염치하다

▲ 세계일보 = 가상화폐 탈취 '北 소행' 첫 확인, 사이버안보 대폭 강화해야

"상법 개정 멈춰 달라"는 재계의 절규, 국회 외면해선 안 돼

피의자·간첩죄 연루 단체 주도하는 尹 탄핵 공세 명분 없다

▲ 아시아투데이 = 韓, 당원 게시판 사태 해결에 책임 있게 나서길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 법정구속도 검토해야

▲ 조선일보 = 기업·인재·돈, 경제 3요소가 모두 탈출하는 나라

原電 예산은 날리고, 이재명 예산은 보탠다니

與 당원 게시판 논란, 韓대표가 사실 밝혀야

▲ 중앙일보 = '그 나물에 그 밥' 개각으론 민심 수습 어림없다

야당의 상법 개정안 우려, 한목소리 낸 대표 기업들

▲ 한겨레 = 대학교수 시국선언 봇물, 윤 정권 가벼이 여기지 말라

당원게시판 가족 동원 논란, 한 대표 제대로 해명하라

초고령 진입 속도 가장 빠른데, 복지지출 거북이걸음

▲ 한국일보 = 윤 대통령, 파격 수준 개각으로 국정동력 마련해야

상법 개정 추진하되, '투기 펀드' 견제 장치 강화를

또 검사 탄핵 민주당, 정략적 탄핵 남발 우려된다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국민의힘과 용산은 과연 '민심·쇄신·소통' 의지 있나

현장운영 효율성·중소사 보호 망각한 LH의 '묶음 발주'

▲ 디지털타임스 = "상법개정 꼭 멈춰달라"… 巨野, 대기업 사장단 읍소 외면말라

당게시판 '가족 개입 의흑' 확산… 韓 왜 직접 진상 안밝히나

▲ 매일경제 = 내우외환 한국경제① 동시다발 경고들 … 낙관론은 오만

16대 그룹 사장단 긴급성명, '상법 개정' 우려 경청을

지역 챙기느라 성장동력 외면…예산 포퓰리즘

▲ 브릿지경제 = '교각살우'에 비유된 상법 개정 멈춰야 한다

▲ 서울경제 = '트럼프 패닉' 속 1%대 성장 경고, 정부·국회 비상대응체제 갖춰라

노조 '준법 투쟁' 내세우며 계속 시민 불편 초래할 건가

李 유연해진 '먹사니즘'… 말의 성찬 아닌 입법으로 실천해야

▲ 이데일리 = 정쟁 볼모로 잡힌 예산… 나라 살림이 화풀이 도구인가

줄 잇는 경제 먹구름 예보, 정부는 위기의식 과연 있나

▲ 이투데이 = "상법 개정 멈춰달라" 긴급성명, 절박한 SOS다

▲ 전자신문 = 여야정 경제 살리기 올인해야

▲ 파이낸셜뉴스 = 경제 살리려면 기업 옥죄기 중단해야

이더리움 해킹 北 소행, 보안 대책 강화 급하다

▲ 한국경제 = 규제 몸살 앓는 16개 기업 사장단의 호소 … 민주당만 딴 세상

코스닥 상장 5곳 중 1곳이 '좀비기업' … 이러니 國場 외면

지자체별 출산지원금은 제로섬 … 사실상 헛돈 아닌가

▲ 경북신문 = '저출생과 전쟁' 시즌2… 쏟아지는 아이디어

▲ 경북일보 = K-원전 기지 경북, 산업 생태계 구축 급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