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복지 위기가구' 초기 상담…11월부터 전국 확대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는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초기 상담이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구축된 AI 활용 초기 상담 정보시스템이 7∼11월 시범운영을 거쳐 25일부터 전국 229개 시군구에서 본격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단전, 단수 등 47종 정보를 활용해 연 6회에 걸쳐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있다.

 지자체가 위기 주민에게 우선 AI 상담 진행을 알리는 문자를 발송하고, 긴급하게 도움이 필요한 주민은 행정복지센터에서 연락할 수 있게 담당 공무원 연락처도 남긴다.

 이후 '읍면동AI복지상담'(☎1600-2129)이 표기된 전화가 위기가구에 전화해 복지 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파악하면 담당자가 상담 내용을 확인해 심층 상담과 가구 방문 등을 진행하게 된다.

 지난 7∼9월 101개 시군구, 9∼11월 158개 시군구에서 시행된 시범운영을 통해서 발굴 대상 20만1천323명 중 51%인 10만2천374명에게 AI 초기상담을 적용해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스란 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인공지능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가구의 복지 욕구를 빠르게 파악하는 등 일선 복지업무 효율성을 높여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