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 좋아하는데 짜장면 당기는 이유는…뇌 의사결정 원리 규명

'불확실하면 일단 남들 따라서'…UNIST, 실험으로 큰 동조효과 확인
"타인 선택 모방하는 지름길 택해…개인 선호도 없을수록 주위에 휘둘려"

 짬뽕을 좋아해 중식당을 찾았는데 다른 손님들이 죄다 짜장면을 먹고 있다면, 갑자기 짜장면이 당기는 이유는 뭘까.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동일 바이오메디컬공학 교수팀이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과 함께 불확실한 상황에서 타인의 선택이 개인의 의사 결정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고 10일 밝혔다.

 정 교수팀에 따르면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결정은 '개인의 선호'와 '타인의 선택'을 통합한 가치판단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진은 뇌가 개인의 선호 정보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어떠한 전략을 취하는지를 밝히고자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휴리스틱이란 시간이나 정보가 불충분해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없거나 굳이 합리적 판단이 필요 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하는 추론 방식을 말한다.

 즉 사람은 개인 선호를 반영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남의 선택을 모방하는 지름길을 택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불확실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섬피질'이나 '배측 전측대상피질'에 부분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이 실험에서 뇌 손상으로 불확실성 정보 처리에 제한이 있는 참가자들은 타인의 선택을 따라 하는 동조효과(conformity)가 뇌 손상이 없는 참가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치평가 과정보다는 '타인의 선택을 무조건 따라가려는 개인의 성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해석했다.

 특히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개인의 선호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불확실한 상황이나 개인의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 개인 선호에 기반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동일 교수는 "개인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사람들이 때때로 주위 사람들 의견에 더 민감하게 휘둘리는 이유를 설명한 연구"라며 "중독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뿐 아니라, 개인의 선호를 확립하는 교육적 접근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계산분석 생물학지인 '플로스 계산생물학'(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지난달 2일 자로 공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협회 "엑스레이 적극 활용" 선언…의협 "양방 영역 침범" 반발
한의사들이 앞으로 진료에 엑스레이(X-ray)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선언했다. 엑스레이를 사용한 한의사에 대한 법원의 항소심 무죄 판결이 계기가 됐다. 당장 양방 의사들은 한의사들이 법원 판단을 왜곡해 무면허 의료행위를 하려 한다고 반발하고 나서, 양·한방의 간 갈등이 표면화하고 있다.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2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협회 임원들부터 앞장서서 엑스레이 기기를 구비해 진료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정유옹 한의협 수석부회장은 "과학의 산물을 활용해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의료인으로서 너무나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라고 말했다. 이날 한의사들의 '엑스레이 사용 선언'은 엑스레이 기기를 사용하다 의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한의사가 최근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수원지법은 지난달 17일 엑스레이 방식의 골밀도 측정기를 환자 진료에 사용했다는 이유로 의료법 위반으로 기소된 한의사에 대한 항소심에서 1심 판결과 같은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이 상고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판결은 최종 확정됐다. 한의협은 "법원은 판결문에서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기준 규정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