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실시간 혈압 측정 웨어러블 센서 실용화 가능성 제시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건재 교수 연구팀이 실시간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 는 웨어러블 혈압 센서의 실용화 전략을 제시했다고 8일 밝혔다.

 기존 팔이나 손목에 커프(공기주머니)를 감싸 측정하는 혈압 측정 방식은 혈압 변동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지속해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2023년 선행 연구를 통해 압전 센서(압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센서)에 의한 맥파 분석(Pulse Wave Analysis·심장 박동에 의해 생성된 맥박 파형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통해 혈압을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를 맥파 속도(Pulse Wave Velocity·맥파가 동맥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로, 맥파 속도가 빠를수록 동맥이 경직된 상태) 기반 혈압 추정 기법과 비교하는 한편 기존 웨어러블 혈압 센서에서 활용되는 4가지 주요 측정 원리(기계적 압력, 광신호, 초음파,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따른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AI와 딥러닝이 혈압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핵심 기술임을 밝혔다.

 이건재 교수는 "본 논문을 통해 기존에는 불가능해 보였던 의료용 웨어러블 혈압 센서의 실용화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증명했다"며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건재 교수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리뷰 카디올로지'(Nature Reviews Cardiology) 지난달 18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 배상보험료, 정부가 50∼75% 지원
산부인과와 소아과 등 필수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진의 의료사고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배상보험료의 50∼75%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필수의료 의료진 배상보험료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27일부터 내달 11일까지 15일간 사업에 참여할 보험사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한다는 국정과제의 일환이다.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분야는 의료사고 발생 위험도 상대적으로 큰 데다 고액 배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 같은 의료사고 리스크가 그간 의사들이 필수의료를 기피하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 왔다. 의료사고에 대비해 민간 보험사와 대한의료협회 의료배상공제조합이 배상보험을 운영하고 있지만, 의료기관의 보험 가입률도 높지 않고 보장한도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필수의료 의료진의 배상 부담을 완화하고, 환자의 피해 회복도 돕기 위한 안전망으로 필수의료 특성에 맞는 배상보험을 설계하고 배상보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50억2천500만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보험료 지원 대상은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와 전공의다. 전문의의 경우 분만 실적이 있는 산부인과(의원급·병원급)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