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잡자" 산림청, 1인당 도시숲 면적 14.07㎡→15㎡

 산림청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주거환경 개선과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재 14.07㎡인 1인당 도시숲 면적을 2027년까지 15㎡로 확대하기로 했다.

 도시숲이 공기 중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차단해 주변 도심보다 미세먼지(PM10) 농도를 크게 늦춘다는 전문기관의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산림청은 미세먼지 차단과 도시열섬·폭염 완화, 탄소흡수원 확보 등을 위해 2019년부터 기후 대응 도시숲 588곳과 도시 외곽 산림의 맑고 찬 공기를 도심으로 유입하는 도시바람길숲을 17개 도시에 조성했다.

 쾌적한 등굣길 환경 조성을 위해 자녀안심그린숲 279개소도 조성했다.

 올해에도 기후 대응 도시숲 107곳과 도시바람길숲 20곳, 자녀안심그린숲 60곳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도시숲 조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23년 5월 국무조정실과 함께 전국 도시숲 조성사업 실태를 점검한 데 이어 대상지 선정의 적정성 확보를 위해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자체평가와 검증 절차를 도입하고 산림청의 검토 승인을 거치도록 했다.

 지난해 6월에는 '기후대응도시숲 등 조성·관리 현장 실무가이드'를 개정해 배포하기도 했다.

 김기철 도시숲경관과장은 "국민 모두 가까운 곳에서 숲을 누릴 수 있도록 도시숲을 확대 조성하고 체계적으로 가꾸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제주 감귤 껍질, 식약처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로 등록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제주산 귤피(감귤 껍질)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 인정형 기능성 원료'(제2025-23, 24호)로 등록됐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제주 감귤 껍질이 국내에서 기능성 원료로 등록된 첫 성공사례다. 한의학에서는 귤피(진피)는 소화를 돕고 기를 순환시켜 몸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전통적인 법제 기술을 응용한 덖음(로스팅) 기법을 도입해 귤피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헤스페리딘 함량을 높이고 약효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성인 93명을 대상으로 한 인체 적용시험에서도 12주간 '덖음귤피추출분말'(JRC) 300㎎을 섭취한 결과, 체지방량, 체질량 지수, 체중, 허리·엉덩이 둘레 등 주요 비만 지표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또 비임상시험에서는 지방세포 분화와 합성 관련 인자를 억제하고 지방분해와 에너지 대사 관련 인자를 촉진하는 체지방 감소 기전을 규명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다.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제이앤제바이오헬스케어, 알피바이오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제주산 귤피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상용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제주산 귤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제주도와 협력해 도내 농가 및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