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장기 손상 없이 지방간 측정한다…간세포 97% 생존

화학硏, 지방간 치료 신약 평가 위한 나노 바늘 개발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현우·배명애 박사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오가노이드(인공장기)와 함께 간세포 손상 없이 특정 부위 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나노 탐침(바늘)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음주와 상관 없이 고지방 위주의 식사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간세포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이다.

 처음엔 물렁물렁해지다가 나중에는 콜라젠과 같은 섬유성 물질이 과다 생성되면서 단단해지는 간경화를 거쳐 간암까지 악화할 수 있어 발병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간 인공장기를 관찰하는 화학연 연구팀

 연구팀은 지방이 쌓인 부위를 시각화하는 형광 이미징과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 탐침을 이용해 측정 부위에만 미세한 압력을 가하는 기술을 이용해 간 조직세포의 손상 없이 비침습적으로 지방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탐침이 인공장기를 누를 때 휘어지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방 축적에 따른 경도 변화를 '영률'(고체 재료의 강성을 나타내는 역학적 특성)이라는 정량적 수치로 측정할 수 있다.

 실제 이 기술을 이용해 형광이 강한 지방 축적 부위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다른 부위에 비해 35% 물렁물렁한 결과를 보였다. 원하는 부위만 정확히 찾아낸 것이다.

 형광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기존 무작위 방식 대비 측정 시간을 절반 이상 단축했다. 측정 후 간세포 생존율도 97% 이상 유지되는 등 손상이 최소화됨도 확인했다.

 기존 기술과 달리 인공장기가 계속 살아있는 상태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내외의 얕은 깊이만 누르기 때문에 간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하나의 인공장기를 손상 없이 계속 사용하면서 간 질환 진행 상황을 단계별로 연속 측정할 수 있는 약물 효능 평가 기술 등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방간 인공장기 비침습적 측정 방식 개발한 한국화학연구원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