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소재에 카이랄성 입히자 항암 치료 효과 4배↑

KAIST "질병 예방 백신과 치료 플랫폼 등 후속 연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염지현 교수팀이 의료용 나노 소재 표면에 카이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카이랄성이란 거울에 비출 때 대칭이지만 서로 겹치지 않는 성질로, '거울상 이성질'이라고도 한다.

 카이랄 분자의 이성질체는 서로 다른 생물학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연구팀은 2㎚(나노미터·10억분의 1m) 두께의 바이오 나노 입자에 각각 왼손잡이(L-형)와 오른손잡이(D-형) 구조를 가진 카이랄성을 페인트처럼 코팅하는 데 성공했다.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

 

 암세포 내부로의 흡수 효율 차이는 카이랄 나노 페인트와 세포 표면 수용체 간 선택적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세포 실험을 통해 밝혔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로 생명과학과 정현정 교수팀과 함께 메신저리보핵산(mRNA)을 전달하는 지질 전달체(mRNA·유전자·약물 등을 감싸서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 나노입자)에 카이랄 페인트 기술을 도입했다.

 D-카이랄성을 도입한 지질 전달체는 mRNA의 세포 내 발현을 2배 이상 높였다.

 염지현 교수는 "의료용 바이오 소재를 비롯해 차세대 약물 전달 시스템, 바이오 센서, 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며 "카이랄 나노 소재를 활용해 질병 예방 백신과 진단·치료를 위한 차세대 플랫폼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각각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와 'ACS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각각 지난 2일과 17일 자로 실렸다.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 개발한 KAIST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