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은한 꽃 향기 과다 노출되면 뇌 신경계 독성 일으킨다"

장미, 제라늄 등에서 추출 한 천연 향료 성분 '시트로넬롤' 독성 유발
화학硏·고려대, 동물실험과 신경계 대사체 분석 통해 확인

  한국화학연구원은 식물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롤'(Citronellol)이 과다 노출될 경우 뇌 신경계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시트로넬롤은 장미,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에서 추출한 천연 향료 성분이다.

 화장품·세제 등 생활용품에 은은한 꽃향기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우선 제브라피시(사람과 유전체 구조가 비슷한 열대어)와 쥐를 이용, 향기 성분이 체내로 흡수된 뒤 뇌로 전달되는지 여부와 그로 인한 뇌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시트로넬롤이 혈액-뇌 장벽(BBB·유해물질이 혈액에서 뇌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보호막)을 통과해 뇌에 도달한 뒤 암과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종(ROS)을 생성하고 염증 신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면역세포 활성화로 신경 염증(뇌에서 면역반응이 과활성화되는 상태로, 신경세포 손상과 뇌 기능 저하를 일으킴)을 유발하고 혈액-뇌 장벽을 손상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또 신경계 대사체 분석을 통해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분해해 만들어진 '키뉴레닌'의 변화를 확인했다.

 키뉴레닌은 신경계에 양면적인 영향을 끼치는 2종류의 물질로 변할 수 있다. '키뉴레닌산'으로 변하면 뇌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시트로넬롤이 키뉴레닌을 신경독성 유발 물질인 '3-하이드록시 키뉴레닌'으로 변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뇌 오가노이드(인공장기)와 혈액-뇌 장벽의 생체 조직 칩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던 독성 기전이 그대로 나타났다.

시트로넬롤 노출에 의한 신경계 손상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트로넬롤을 화장품 알레르기 유발 가능 물질로 지정, 유럽연합(EU)처럼 일정 농도 이상 함유될 경우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배명애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시트로넬롤과 같은 향료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해물질'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이달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