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촬영 없이 X선 사진으로 요추협착증 진단 AI 개발"

서울대병원, 인공지능 모델 개발…"진단 정확도 91.4%"

 자기공명영상(MRI) 장비 촬영 없이 엑스레이(X-ray) 사진으로 요추협착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이창현 교수 연구팀은 2005∼2017년에 촬영된 요추협착증 환자 2천500명과 정상인 2천500명의 엑스레이 사진을 토대로 요추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요추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하반신에 통증이나 무감각·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MRI 촬영이 필요하나 고가의 검사비와 긴 촬영 시간, 중소형 규모의 병의원에서는 장비를 구비하지 않은 점 등으로 인해 환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허리를 바로 세운 중립, 허리를 앞으로 숙이는 굴곡, 허리를 뒤로 쭉 펴는 신전 등 세 가지 자세에서 각각 촬영된 환자와 정상인의 엑스레이 사진을 AI 모델에 입력한 뒤 요추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다.

 AI 모델은 세 가지 자세에서 추출된 이미지 특성을 결합·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단의 정확도를 상승시켰다.

 질환 의심 부위를 탐지하지 못하거나 정상인 부분을 질환으로 오인하는 오류도 낮췄다.

 AI 모델의 요추협착증 진단 성능은 연구팀 자체 검증에서 91.4%, 외부 검증에서 79.5%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AI 모델 개발로 MRI 촬영이 어려운 환경에서 다양한 자세를 취하고 촬영한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요추협착증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엑스레이 촬영은 MRI 촬영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의료비, 짧은 촬영 시간, 이동식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환자 편의도 개선될 것으로 봤다.

 이 교수는 "해당 모델을 활용하면 MRI 없이 엑스레이 촬영만으로 요추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심하지는 않으나 지속적인 요통을 겪는 환자에게 선별검사로 활용하면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 혈액검사…속도·정확도 높여
혈액검사 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속도를 높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로봇공학과 양성 교수 연구팀이 혈류 상태에서 적혈구 배열과 적혈구 내부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적혈구의 배열 방향성과 세포 내부 수분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대한 물질의 반응을 측정해 유전 특성이나 분자 구조 변화 등을 분석하는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미세 채널로 액체를 정밀하게 제어·분석하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기술을 결합했다. 특히 적혈구 배열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선호 배열 지수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방식은 대부분 정지 상태의 혈액을 분석했기 때문에 적혈구 응집이나 침전 현상이 발생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 이론 모델은 적혈구 배열 상태나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임피던스 스펙트럼(저항 범위) 해석에도 제약이 따랐다. 연구팀은 새로운 기술로 적혈구 수·헤모글로빈 농도·헤마토크릿 등 혈액의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는 주요 혈액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