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세마글루티드·SGLT2 억제제, 치매 위험 33~43% 낮춰"

美 연구팀 "GLP-1RA·SGLT2i, 치매 예방 활용 가능성 제시"

 당뇨병 치료제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GLP-1RA : 세마글루티드)와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 억제제(SGLT2i)가 당뇨병 환자의 치매 위험을 33~43%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플로리다대 징촨 궈 박사팀은 최근 미의학협회 저널 JAMA 신경학(JAMA Neurology)에서 당뇨병 환자 39만여명의 전자건강기록 데이터를 이용, GLP-1RA와 SGLT2i, 기타 혈당강하제(GLP)와 알츠하이머 및 관련 치매(ADRD) 위험 간 연관성을 추적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2014년 1월~2023년 6월 제2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50세 이상 환자 39만6천963명의 전자건강기록 데이터를 이용, GLP-1RA 사용 그룹과 SGLT2i 사용 그룹, 기타 혈압강하제(GLP) 사용 그룹의 ADRD 위험을 비교했다.

 GLP-1RA 대 기타 혈당강하제 비교군에는 3만3천858명(평균 65세)이 포함됐고, SGLT2i 대 기타 혈당강하제 비교군에는 3만4천185명(평균 65.8세), GLP-1RA 대 SGLT2i 비교군에는 2만4천117명(평균 63.8세)이 포함됐다.

 분석 결과 GLP-1RA 사용 그룹은 기타 혈당강하제 사용 그룹에 비해 ADRD 발병률이 34% 낮았고, SGLT2i 사용 그룹도 기타 혈당강하제 사용 그룹보다 ADRD 발병률이 4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GLP-1RA 사용 그룹과 SGLT2i 사용 그룹 간 ADRD 발병률 차이는 3%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GLP-1RA와 SGLT2i의 치매 위험 억제 메커니즘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가능한 기전이 제안될 수 있다며 GLP-1RA는 신경 염증 감소, 뇌 내 인슐린 신호 전달 개선, 신경 생성 촉진 등 효과를, SGLT2i는 뇌 혈류 개선, 산화 스트레스 감소,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 등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연구 결과는 GLP-1RA와 SGLT2i의 잠재적 신경 보호 효과를 뒷받침하고 ADRD 예방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이 결과를 입증하고 다른 집단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하려면 무작위 대조시험 같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JAMA Neurology, Jingchuan Guo et al., 'GLP-1RA and SGLT2i Medications for Type 2 Diabetes and Alzheimer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urology/fullarticle/10.1001/jamaneurol.2025.0353?guestAccessKey=903463ed-188b-43f3-a655-a69f968d4580&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생체리듬에 맞는 섭생
먹는 이야기를 계속 이어간다. 다음으로 생체리듬에 맞게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즉, 낮에는 먹고 밤에는 굶으라는 거다. 직전 칼럼에서 12시간 금식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는데 되도록 밤에 금식하는 게 좋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밤과 낮이 생긴다. 낮에는 해가 뜨고 밤이 되면 해가 진다. 인체는 이 태양과 달의 리듬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인체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태양과 달의 영향을 받는다. 태초에 그런 환경을 가진 지구에 생명체가 태어났으니 그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예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농부들은 음력에 따라 농사를 지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4절기에 맞춰 씨앗을 뿌리고, 가지치기하고 농작물을 수확했다. 특히 흙의 성질은 달의 움직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과학적 배경에 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 프랑스를 위시한 세계 최고급 포도주 생산자는 포도원 관리 차원에서 음력을 쓰고 있다. 또한 그들은 포도를 수확할 때도 기계를 쓰지 않고 손으로 직접 수확하고, 밭갈이할 때도 트랙터 대신 말이 끄는 쟁기를 사용할 정도로 포도 농사에 신경을 쓴다. 인체 역시 달의 움직임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음지 갇혔던 문신사 '불법' 딱지 뗄까…문신사법 복지위 통과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허용하는 '문신사법'이 지난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문신사법은 '문신사'라는 직업을 신설하고 그 자격과 관련 시험에 관한 절차 등을 규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문신사 자격이 있어야 문신업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매년 위생·안전관리 교육을 받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은 1992년 문신 시술을 '의료행위'로 판단한 대법원 판결 이후 의료법 위반으로 처벌받아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신 시술이 의료보다는 심미적 목적에 따른 것이고, 실제 시술자도 거의 의료인이 아닌 점 등을 들어 법과 현실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문신 행위에 대한 관리·감독의 법적 근거가 없는 탓에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 역시 문제로 꼽혀 왔다. 문신사법은 2013년 제정안 발의 후 19∼21대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계속 제출됐으나 결실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문신사법을 처리하겠다는 현 여당의 강한 의지를 바탕으로 여야 발의안을 병합 심사한 대안이 지난 20일 복지위 법안심사소위를, 이날은 복지위 전체회의를 통과하며 입법 가능성이 커졌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