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외국인 유학생 늘어…증가폭 OECD 10위

코로나 전후 한국인 유학생 수는 14.7% 감소…OECD 5위→8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전후해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이 큰 폭 늘어나며 증가 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10위를 기록했다.

 반면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한국 국적의 유학생 수는 감소하면서 OECD 순위가 8위로 3계단 하락했다.

 2018년과 2022년 사이 유학생 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국가는 현지 대학의 국제 순위가 상승한 칠레와 이동성 지원 및 지역 협력 정책을 편 슬로베니아로, 2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어 튀르키예, 포르투갈, 폴란드, 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아이슬란드 순이었으며 한국은 증가 폭이 1.5배에 육박하며 10위를 차지했다.

 OECD는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뉴질랜드, 영국, 미국이 2022년 회원국에서 공부하는 460만명 유학생 중 3분의 2가량을 수용했다며 일본과 한국, 네덜란드, 튀르키예는 OECD 국가가 수용하는 유학생 인구의 16%를 추가로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OECD는 한국의 '스터디 코리아 300K' 프로젝트가 30만명의 유학생을 유치하고 자국을 글로벌 교육 허브로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소개하고, 터키는 중동·북아프리카(MENA) 및 중앙아시아 지역 학생들에게 주요 목적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장학금을 제공하고 유학지로서 적극적으로 홍보했다고 강조했다.

 2018년과 2022년 사이 유학생 수가 감소한 국가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더 엄격한 이주·보건 제한 조치와 유학생 비자 정책을 취한 뉴질랜드와 이탈리아, 호주, 미국, 덴마크 5개국에 불과했다.

 대부분 회원국 내 유학생이 증가한 것은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과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육 기관 접근성, 더 나은 직업 전망 등 요인에 따른 것으로 OECD는 분석했다.

[KISTEP 제공]

 한편, OECD는 2018~2022년 중국과 인도가 여전히 주요한 유학생 유출국이었다며 양국 유학생 중 3분의 2가 호주, 캐나다, 일본, 영국, 미국으로 향했다고 전했다.

 2022년 중국과 인도 국적 유학생은 각각 86만2천767명과 52만4천548명이었다. 베트남(12만8천471)과 독일(12만1천609명), 프랑스(10만8천185명)가 10만명을 웃돌았고 미국(9만3천195명)과 나이지리아(8만5천764명)가 뒤를 이었다.

 한국 유학생 수는 2018년 9만6천603명보다 14.7% 감소한 8만2천384명으로 집계됐다.

 OECD 순위는 5위에서 8위로 하락했다.

 이는 주요 유학국인 미국의 유학생 비자 정책이 엄격해진 데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표] OECD 국가에 등록된 유학생 (단위: 명)

 

순위 2022년 2018년
국적 학생수 비율(%) 국적 학생수 비율(%)
1 China 862,767 18.7 China 903,825 23.0
2 India 524,548 11.3 India 316,451 8.1
3 Viet Nam 128,471 2.8 Germany 115,494 2.9
4 Germany 121,609 2.6 Viet Nam 104,261 2.7
5 France 108,185 2.3 Korea 96,603 2.5
6 United States 93,195 2.0 France 93,899 2.4
7 Nigeria 85,764 1.9 Italy 69,848 1.8
8 Korea 82,384 1.8 Saudi Arabia 69,305 1.8
9 Italy 79,574 1.7 Nepal 68,675 1.7
10 Nepal 79,051 1.7 United States 64,574 1.6

 

(자료: OECD)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