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의료서비스업 종사자 4%↑…한방병원 증가율 최고

의사·치과의사·한의사 새 일자리 1천여개 늘어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도 4%가량 증가…전 산업 증가율보다 높아

 지난해 4분기 병의원 등 의료서비스업의 종사자가 전년 동기보다 4%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업 종사자를 포함한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도 비슷한 비율로 늘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발표한 지난해 4분기 보건산업(바이오헬스산업) 고용 동향에 따르면 의료서비스업 종사자는 90만6천776명으로, 1년 전보다 3.9% 늘었다.

 의료서비스업 종사자는 작년 4분기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의 83%를 차지했다.

 의료서비스업 분야별로는 한방병원 종사자(2만3천539명)의 증가율이 12.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일반의원(25만9천222명·7.0% 증가), 한의원(4만4천138명·3.7% 증가)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

 작년 4분기 보건산업 분야 신규 일자리는 총 7천276개 창출돼 1년 전보다 22.9% 늘었는데, 이 가운데 의료서비스업 분야의 신규 일자리(5천985개)가 82%를 차지했다.

 직종별로는 응급구조가, 간호조무사 등 보건·의료 종사자 신규 일자리 수가 2천70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의사, 한의사·치과의사(1천117개), 간호사(1천34개) 등의 순으로 일자리가 늘었다.

 전체 보건산업 가운데서는 화장품 산업 종자사(3만9천688명)가 6.4%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작년 1분기 0.5%, 2분기 1.7%, 3·4분기 각 5.8%를 기록하며 29세 이하 청년층 종사자 수 증가세가 이어졌다.

 30인 이상∼300인 미만 규모 사업장의 종사자 수가 10.9% 늘면서 화장품 산업 고용 증가를 견인했다.

 작년 4분기 기준 제약산업 종사자(8만3천993명)는 4.0%, 의료기기산업 종사자(6만2천596명)는 1.2% 증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

 이들 산업을 아우른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는 109만3천53명으로, 1년 전보다 3.9% 늘었다.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 가운데 여성(81만8천233명)이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개별 산업별로 봤을 때 제약산업(남성 63.4%)과 의료기기산업(남성 58.7%)은 남성의 비중이 컸다.

 화장품산업과 의료서비스업의 여성 비중은 각각 58%와 82%다.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 사이에서도 인구 고령화 현상이 나타났다.

 60세 이상(+8.5%)과 50대(+6.9%) 종사자는 증가한 반면 청년층 종사자는 0.7% 줄었다.

 근속 기간으로 보면 '5년 미만'이 차지하는 비중이 70.2%(76만8천명)로 가장 컸다.

 작년 4분기 보건산업 전체 사업장은 총 8만2천925개로, 1.8% 늘었다.

 이병관 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작년 4분기 전 산업에서 고용 증가율 둔화와 청년층 종사자 고용 감소가 심화했지만, 바이오헬스산업은 고용 증가세를 유지했고 청년층 종사자 고용 감소 폭 또한 점차 완화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청년층 고용이 계속 늘어난 화장품산업의 종사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며 "앞으로 청년층이 화장품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독성硏, '영원한 화학물질' PFOA가 뇌 염증 일으키는 기제 밝혀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가민한 박사 연구팀은 유해 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이 뇌 신경 염증을 일으키는 기제를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과불화옥탄산은 주방용품, 섬유, 식품 포장재, 소화기 거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PFAS) 계열 물질로,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잔류해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린다. 과불화옥탄산이 신경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으나, 구체적인 작용 원리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PFOA를 뇌 속 별세포(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에 노출하면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소포체는 단백질의 합성과 수송이 이뤄지는 세포 소기관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잘못 접힌 단백질이 쌓여 세포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와 함께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하는 과정) 작용이 발생하며 별세포의 과활성화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은 손상·노후 세포를 분해·재활용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될 경우 오히려 염증 반응을 악화시킬 수 있다. 과불화옥탄산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자가포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별세포의 과활성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해외 시장 직접 공략"…직판 체제 강화하는 제약·바이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파트너사를 거치는 것보다 초기 비용은 더 많이 들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직판이 수익 증대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달 스페인에서 직판 체제를 구축했다. 기존 스페인 유통 파트너사 '컨파마'와 협의를 거쳐 현지법인 주도의 직판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해 말에는 스위스 제약 유통사 '아이콘'을 인수하며 현지 직판에 착수했다. 셀트리온은 2020년 '램시마'를 시작으로 유럽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판으로 전환했다. 2023년에는 미국 시장 판매 구조도 직판 형태로 바꿨다. 이 회사는 최근 분기 보고서에서 직판에 대해 "각 국가 내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다년간 쌓은 시장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태훈 셀트리온 유럽본부장도 최근 셀트리온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럽 법인의 성장 배경으로 '직판을 통한 소통'을 지목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플랫폼을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엑스코프리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