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시장 직접 공략"…직판 체제 강화하는 제약·바이오

셀트리온·SK바이오팜 등…"제품 가격 경쟁력·현지 영업력 증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파트너사를 거치는 것보다 초기 비용은 더 많이 들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직판이 수익 증대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셀트리온은 2020년 '램시마'를 시작으로 유럽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판으로 전환했다.

 2023년에는 미국 시장 판매 구조도 직판 형태로 바꿨다.

 이 회사는 최근 분기 보고서에서 직판에 대해 "각 국가 내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다년간 쌓은 시장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태훈 셀트리온 유럽본부장도 최근 셀트리온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럽 법인의 성장 배경으로 '직판을 통한 소통'을 지목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플랫폼을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엑스코프리 미국 매출은 1천3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직판 체계를 토대로 더 정교하고 유기적인 환자 중심 접점 확대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고 했다.

 이 회사는 미국 내 직판 인프라를 활용해 '제2의 세노바메이트' 도입도 연내 진행할 계획이다.

 이미 구축된 현지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해 신속한 시장 진입을 추진할 방침이다.

 GC녹십자는 미국 법인 GC바이오파마USA를 통해 혈액제제 '알리글로'를 판매하고 있다.

 2023년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허가를 획득한 알리글로는 현재 연 매출 1억달러(약 1천300억원)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솔라리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에피스클리'를 유럽에서 직판하고 있다. 솔라리스는 미국 알렉시온이 개발한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등 희귀질환 치료제다.

 이 같은 직판 체제는 장기적 수익성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파트너사 대상 수수료를 절감해 제품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본사 마케팅 전략을 현지에서 시행함으로써 영업 효율도 높일 수 있다. 즉 자사 의약품에 대한 통제력이 커지는 것이다.

 다만 현지법인이나 의료계 네트워크 등 초기 인프라 구축에 큰 비용과 시간이 투입된다는 점은 진입장벽으로 꼽힌다.

 국가별 제약·바이오 관련 규제에 자체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점도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