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국내 의료진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두경부암은 얼굴, 코, 목, 입안, 후두, 인두 등에 발생하는 암을 통칭한다.

 두경부암은 주로 인두 등 두경부 내 점막에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된 암은 주변 조직에 공격적으로 침습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고 표준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연구팀은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두경부암의 조기 발생 과정을 파악하는 데 집중했다.

 우선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72명의 종양 샘플을 추출·분석한 결과 'MLL3' 유전자 돌연변이가 편평상피세포를 초기 암세포로 진화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비정상적으로 변형된 편평상피세포가 주변 조직에 침습하면서 '침습성 편평세포암'으로 발달하는 과정을 재현하고자 인간과 쥐 구강 조직에서 추출한 편평상피세포를 토대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배양된 오가노이드에서 MLL3 유전자 돌연변이가 암 발생에 관여한다는 사실 을 다시금 확인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MLL3 유전자 돌연변이는 편평상피세포가 초기에 종양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변이로 인해 본래 기능을 소실해 암 발생을 촉진하게 된다.

 연구팀은 "MLL3 유전자 돌연변이가 암 발생에 관여하는 역할을 밝혀내 난치성 두경부암에 쓸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단초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SML메디트리, 제이에스링크와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임상시험검체분석 전문기업 SML메디트리(대표 이동수)가 유전체기반 생명공학 전문기업 제이에스링크(대표 심철구, 이준영)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고유한 기술력과 분석 인프라를 결합해 기초 연구부터 신약개발 전 과정에서의 분석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이다. 특히 협력의 시작은 SIMOA 플랫폼을 활용한 알츠하이머 특이적 바이오마커 분석과 LC-MS/MS 기반 질량분석 기술을 연계한 공동 분석 플랫폼 구축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SML메디트리는 GCLP 기준에 기반한 체계적인 분석서비스 인프라를 바탕으로 임상시험 전 주기에 걸친 검체분석을 포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내외 제약사 및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파트너로서 높은 신뢰를 쌓아왔다. 제이에스링크는 멀티오믹스 분석 전문기업으로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등의 분석 데이터 생산 및 분석을 위한 모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책사업을 수행 중이다. SML메디트리 이동수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은 임상시험검체분석 전문성과 첨단 유전체 분석의 접목으로 신약개발의 성공률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정밀한 바이오마커 분석을 통해 환자군 선정, 약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