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췌장암 생존 예측하는 핵심 예측지표 2종 규명"

우상명·공선영·전중원 교수 연구팀 발굴…국제학술지 게재

 국립암센터는 췌장암 환자의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예측지표) 2종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의 우상명·공선영·전중원 교수 연구팀은 혈액과 조직 검사를 통해 두 가지 핵심 바이오마커를 찾아냈다.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난치성 암으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반응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바이오마커 발굴이 중요하다.

 첫 번째 지표는 혈액 내 종양에서 유래한 유전자 조각인 암 변이 유전자 '케이라스'(KRAS) 순환종양핵산(ctDNA)이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암이 더 공격적이며 생존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KRAS 유전자 돌연변이는 췌장암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며 암의 발생과 진행 과정에서 암세포의 성장을 지속해서 활성화하고 항암제 저항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변이 KRAS 농도는 췌장암의 진행 정도와 예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는 게 암센터의 설명이다.

 연구팀이 발굴한 두 번째 지표는 수치가 높을수록 생존 기간이 유의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책임자인 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췌장암 환자 개별 맞춤 치료와 예후 예측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캔서스'(Cancers)에 실렸다.

왼쪽부터 우상명·공선영·전중원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