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추세대로 도시화 진행돼도 인구 감소로 온실가스 배출량↓"

한국환경연구원 보고서…새로 개발되는 주거지보다 '주거지→유휴지·녹지' 더 많아

  도시화 추세가 유지돼도 인구가 줄면서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늘어나 토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량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4일 한국환경연구원 '국토이용 전환시나리오에 따른 토지 기반 탄소중립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현재 수준으로 도시화가 진행돼도 인구가 소멸해 전체 주거지가 줄며 토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이 2054년 기준 7천936만578t(톤) 순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진은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활용해 우리나라 인구가 2030년 5천119만9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30년 5천52만5천명, 2046년 4천873만9천명, 2054년 4천535만1천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제한 뒤 예측 모델을 통해 토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했다.

 연구에 따르면 현 수준 도시화가 지속해도 인구가 줄면서 주거지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주거지 총면적은 2030년 70만9천904ha, 2038년 70만558ha, 2046년 67만5천794ha, 2054년 62만8천818ha로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새롭게 주거지로 개발되는 면적보다 주거지에서 유휴지나 녹지 등으로 바뀌는 면적이 더 넓기 때문이다.

 현 수준 도시화가 지속하면 주거지로 새로 개발되는 면적은 2030년 7천968ha, 2038년 1만3천48ha, 2046년 1만4천953ha, 2054년 1만5천962ha로 예측됐다.

 인구 감소에 따라 주거지에서 다른 용도로 전환될 면적은 2030년 1만3천916ha, 2038년 2만8천333ha, 2046년 5만5천11ha, 2054년 10만2천996ha로 예상됐다.

 주거지 증감을 모두 반영했을 때 토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30년 538만9천462t, 2038년 1천390만8천232t, 2046년 3천654만4천260t, 2054년 7천936만578t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2054년을 기준으로 신규 주거지 개발에 따라 추가로 배출되는 온실가스양이 1천466만1천590t, 주거지가 비(非)주거지가 되면서 감소하는 양이 9천402만2천168t으로 계산돼 토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이 결국 7천936만578t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사람이 거주하지 않게 된 시가화건조지(주거시설 등 건조물로 덮인 지역)를 녹화하거나 도시재생사업 등으로 신규 개발 수요를 흡수하면 추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벽면·옥상 녹화, 친환경·도시 농업 활성화,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추가적인 정책을 펼치면 2030년 22만2천984∼44만5천967t, 2054년 79만60∼158만119t의 추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진은 "도시 확장을 억제하며 도시 내부를 활용하는 도시재생을 우선 시행하고, 인구소멸지역 유휴지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면서 "토지 이용 관리와 정책적 개입을 통한 탄소흡수원 확대는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