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호르몬' 아닌 '지방산산화' 때문"

국립암센터 김수열 연구팀, 세계 최초 증명…"고탄수화물 식이, 암 성장 억제"

 지방산을 분해해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인 '지방산산화 대사'가 고지방 식단으로 인한 비만인의  암세포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는 김수열 박사 연구팀(우상명·이호·최원영·심성훈·전중원·한나영·이우진)이 이런 연구 결과를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테라노스틱스' 5월호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지방산산화란 탄수화물이 부족할 때 지방산을 분해해 에너지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췌장암에 걸린 실험용 쥐에게 23주간 고지방 식이를 제공했다. 그 결과 동일한 열량을 탄수화물로 제공받은 쥐에 비해 고지방 식이를 한 실험쥐의 체중이 2배로 증가했고, 종양의 크기도 2배 이상 커졌다.

 이때 지방산산화를 유도하는 핵심 유전자인 SLC25A20을 유전적으로 억제했을 때, 고지방 식이를 제공받은 실험쥐의 암세포 성장이 정상 식이를 한 쥐와 유사한 수준으로 억제됐다.

 일부에서는 종양 성장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도 관찰됐다.

 아울러 연구팀은 고탄수화물 식이가 고지방 식이에 비해 암세포 성장을 최대 80%까지 억제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SLC25A20은 암세포에 지방을 공급하는 핵심 통로로, 이를 차단하면 암이 에너지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게 된다"며 "이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새로운 항암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는 김 박사 연구팀이 이를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SLC25A20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항암 신약 개발 및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