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짱' 되어볼까…여름철 앞두고 '몸만들기' 책 인기

교보문고 "30~40대 여성이 가장 적극적인 독자층"

 다이어트와 운동 등을 소재로 한 이른바 '몸만들기' 책들이 여름을 앞두고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보문고가 2020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건강 분야 도서의 월별 판매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다이어트·운동, 트레이닝과 관련한 도서가 5월부터 수요가 뚜렷이 증가해 7월에 정점을 찍는 경향을 보였다.

 월별로 보면 한여름이 본격화하는 7월에 9.5%로 이들 도서 점유율이 가장 높았고, 6월 9.1%, 5월 8.6% 순이었다.

 5~7월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한 건 12월(8.5%)이었다.

 교보문고는 "옷차림이 가벼워지는 계절을 앞두고 몸매 관리를 시작하려는 독자들의 움직임이 반영된 결과"라며 "특히 사회적 활동과 자기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30~40대 여성들이 건강과 체형 관리에 가장 적극적인 독자층"이라고 분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