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바이오·시지메드텍, 국내 최초 척추변형 수술 실전 교육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는 최근 서울 가톨릭대학교 국제술기교육센터에서 척추 임플란트 전문 자회사 '시지메드텍(CG MedTech)과 '제1회 서울 척추 변형 코스 2025'(The 1st Seoul Spinal Deformity Course 2025)를 열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내외 척추외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척추 변형 수술 분야에 대한 실전 교육이 이뤄졌다.

 이번 교육은 단순 이론 중심 강의를 넘어 실제 해부 실습을 통해 고난도의 척추 변형 교정술을 단계별로 학습하는 실전형 교육 프로그램이다. 척추 변형과 관련된 척추 전 구간 수술을 다룬 것은 국내 교육 프로그램 중 처음이라고 회사가 설명했다.

 유현승 시지바이오·시지메드텍 대표는 "시지바이오와 시지메드텍은 앞으로도 이러한 실습 중심 교육을 정례화해 의료진의 수술 역량 향상과 국산 척추 임플란트에 대한 신뢰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 투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정갈등 초과사망 없다?…"암수술 지연, 사망위험 2배↑"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궈온 정부와 의료계의 의대 정원 갈등은 의료 현장에 깊은 상흔을 남겼고, 그 상흔은 여전히 치유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피해자는 누구보다 환자다. 특히 암과 같은 중증 질환 환자들은 전공의의 병원 이탈과 의료진 부족으로 수술과 치료가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일이 벌어지면서 애간장을 태워야만 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의료 공백이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는 짐작만 할 뿐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가 단순한 기우가 아닐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조기 유방암에서조차 '진단부터 수술까지 얼마나 빠르게 치료가 이뤄졌는가'가 생존에 직결된다는 분석이 나온 것이다. 유방암은 한국인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다. 한국유방암학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유방암 신규 환자는 3만명을 넘어선 3만665명(여 3만536명, 남 129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국내 여성 암 발생의 21.8%를 차지하는 수치다. 한국인 유방암은 평균 진단 연령이 53.4세로 서구 국가보다 10년 정도 젊을 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이 활발한 40대에서 유독 발생률이 높은 게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다만 국가 건강 검진 활성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