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근무 여성, 천식 위험 50% 높아…남성은 큰 차이 없어"

英 연구팀 "생체시계 교란 및 남녀 호르몬 차이 영향 가능성"

 야간 근무를 하는 여성은 천식을 앓을 위험이 주간 근무만 하는 여성에 비해 5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성은 야간 근무자와 주간 근무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국 맨체스터대 로버트 메이드스톤 박사팀은 17일 유럽호흡기학회(ERJ) 저널 ERJ 오픈 리서치(ERJ Open Research)에서 영국 노동자 27만여명의 근무형태와 생활습관 등 데이터를 분석, 여성의 야간 근무와 천식 사이에서 이런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메이드스톤 박사는 "천식은 불균형적으로 여성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며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더 심한 천식을 앓고 천식으로 인한 입원율과 사망률도 높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의학 데이터베이스인 영국바이오뱅크(UK Biobank) 등록 노동자 27만4천541명의 데이터를 이용, 천식 유무 및 성별, 근무 형태(주간·야간·주야간 병행) 등으로 그룹을 나눠 분석했다.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5.3%였고, 이 가운데 흡입기나 천식 치료제를 사용하는 중등도 또는 중증 천식 환자는 전체의 1.9%였다.

 분석 결과 여성 야간 근무자는 주간 근무자와 비교하면 중등도·중증 천식 위험이 5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경 후 호르몬 대체 요법(HRT)을 사용하지 않는 여성 야간 근무자는 주간 근무자보다 천식 위험이 89%나 높았다.

 연구팀은 하지만 HRT를 사용하는 여성에게서는 이런 위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며 이는 HRT가 천식에 대한 보호작용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남성의 경우에는 야간 근무자가 주간 근무자보다 천식 위험이 5% 낮았으나 통계적 의미가 있는 차이는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메이드스톤 박사는 "이 연구는 교대 근무와 천식 간의 관계에서 성별 차이를 평가한 첫 연구"라며 "이 결과는 고정적으로 야간 근무를 하는 여성들이 주간 근무자보다 중등도·중증 천식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는 교대 근무와 천식이 왜 연관되는지 설명해줄 수 없다"며 "이는 교대 근무가 생체시계를 교란하고, 남성과 여성 사이에 테스토스테론 같은 호르몬의 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또 "이 결과는 HRT가 야간 근무 여성의 천식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며 "성호르몬이 남녀 천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HRT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와 무작위 대조 시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ERJ Open Research, , 'Increased risk of asthma in female night shift workers', http://dx.doi.org/10.1183/23120541.00137-202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