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지연 의심 영유아 해마다 증가…"체계적 지원 시급"

'심화평가 권고' 비율 2017년 1.8%에서 2023년 3.3%로 늘어

 영유아 건강검진에서 발달지연이 의심된다는 결과를 받은 영유아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연 영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육아정책연구소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영유아 발달평가에서 '심화평가 권고'를 받은 영유아의 비율은 2017년 1.8%에서 2019년 2.2%, 2021년 2.4%, 2023년 3.3%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영유아 발달평가는 우리나라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유아 건강검진에 포함돼 생후 9개월 이후부터 이뤄진다. '양호', '추적검사 요망', '심화평가 권고', '지속관리 요망' 등 4단계로 결과가 제시된다.

 2023년 경우 전체 수검 영유아의 83.6%가 '양호'로 나타났고, '추적검사 요망'과 '심화평가 권고'가 각각 12.3%, 3.3%였다.

 '추적검사 요망' 결과를 받은 영유아의 비율도 2017년 9.9%에서 2019년 11.6%, 2022년 11.8% 등으로 증가 추세다.

발달지연 의심 영유아 해마다 증가…"체계적 지원 시급" - 2

 

 '심화평가 권고'를 받았다고 모두 장애 진단을 받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조기 개입을 통해 정상 발달 경로로 들어설 수 있다.

 그러나 발달지연 의심 영유아의 증가에도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육아정책연구소는 지적한다.

 대부분의 영유아 발달 지원 서비스가 부모의 신청이나 동의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도 제도의 실효성이 낮아지는 원인 중 하나다.

 실제로 검진에서 '심화평가 권고'를 받은 영유아에겐 발달장애 정밀검사비가 지원되지만, 인식과 홍보 부족 탓에 이들 중 15.4%(2021년 보건복지부 연구용역 결과)만이 실제로 지원을 신청했다.

 또 연구소가 발달지연 영유아를 담당해본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491명에게 설문한 결과 학부모에게 자녀 발달상황에 대한 상담과 추가 진단이 필요함을 알렸을 때 부모의 45.2%는 필요를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강은진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영유아 발달평가 결과와 후속 조치에 대해 보호자에게 친절하고 실질적으로 안내해야 한다"며 "발달지연에 대한 조기 개입이 예방적 차원에서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발달지연 영유아를 발견하더라도 지속적이고 연계 가능한 개입체계가 미흡하다"며 기관 유형을 초월한 통합적 지원체계, 교육부 내 전담부서 신설, 지역 기반 영유아발달지원센터 설립과 전문인력 배치 등을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