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예방주간 15주년…0.2% 남아 백신접종률 개선책은

호주 남아 접종률 78%…영국은 남녀 평균 접종률 60~70%
자궁경부암 주원인 HPV, 남녀 모두에 전파…"남아 접종 지원 필요"

 매년 5월 셋째 주는 대한산부인과학회가 정한 '자궁경부암 예방 주간'이다.

 예방 주간은 자궁경부암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백신 접종을 통한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5년 전인 2010년 시작됐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발생자 수는 2018년 3천583명(조발생률 10만 명당 7.0명)에서 2022년 3천174명(조발생률 10만 명당 6.2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 자궁경부암 주원인 HPV, 남녀 모두 전파 가능

 전 세계적으로 네 번째로 흔한 여성암인 자궁경부암의 원인은 99.7%가 HPV 감염이다.

 2022년 기준 약 66만 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했고 35만 명이 사망했다.

 HPV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라는 뜻으로, 그 종류만 200종이 넘는다. 이 중 40여개의 바이러스가 직접적인 성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HPV는 성관계를 통해 성별에 상관없이 파트너에게 전파되기 때문에 남녀 모두 HPV 백신을 통한 예방접종이 중요하다.

 HPV는 독일 하이델베르크 암연구센터의 하랄드 추어 하우젠 박사의 연구에서 최초로 밝혀지며 1972년부터 연구가 시작됐고 2006년 세계 최초의 암 예방 HPV 백신이 개발됐다.

 2008년 하우젠 박사는 최초로 HPV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영국·캐나다·호주 "10년 내 자궁경부암 종식"

 최근 주요 국가에서는 잇따라 자궁경부암 퇴치 목표를 선언하고 있다.

 영국과 캐나다, 호주는 국가 차원에서 HPV 검진과 백신 접종을 통해 자궁경부암을 퇴치할 예정 이라고 전망한다.

 2007년 세계 최초로 HPV 백신의 국가 접종 프로그램을 도입한 호주는 HPV 유형 감염률 77%까지 감소시키는 성과를 끌어냈다.

 2020년 호주의 자궁경부암 신규 진단 건수는 982건이었으며 연령 표준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7.6건이었다.

 호주 정부는 2035년까지 자궁경부암을 퇴치한 첫 번째 국가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영국도 2008년부터 만 12~13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는 남성 청소년까지 포함해 국가 백신 접종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성공적인 HPV 예방 효과를 보였다.

 영국에서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만 12~13세에 백신 접종을 한 여성 청소년이 16~18세가 됐을 때 HPV 16형과 18형의 유병률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시행 전 HPV 유병률은 15%로 10년 사이 큰 폭의 HPV 예방 효과를 입증했다.

 국가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령에서는 미참여군 대비 자궁경부암 발병률이 확연히 낮았다.

 백신 접종률 89%인 집단에서 암 발병률은 미참여군 대비 87%나 낮았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다른 나라에서도 자궁경부암 발병률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캐나다, 스웨덴 등 여러 국가에서도 남녀 공동 HPV 백신 접종을 통해 향후 20년 내 자궁경부암 퇴치를 선언했다.

 ◇ 남성은 여전히 HPV 예방 사각지대…NIP 언제 포함될까

 HPV는 자궁경부암 외에도 항문암, 질암, 생식기 사마귀 등 다양한 암, 질환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남녀 모두가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국제인유두종협회(IPVS)는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암의 5%는 HPV가 원인이며 매년 약 3만7천800개의 새로운 HPV 관련 암을 남녀 모두에게 유발한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작년 질병관리청의 초·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 사업에 따르면 2011년생의 1차 접종 완료율은 여아 79.2%, 남아는 0.2%에 그쳤다. 남아 접종률이 호주 국가 백신 접종 프로그램(2020년 기준)의 12~13세 접종률 78%에 비해 390배 차이 난다.

 영국은 남녀 평균 접종률이 60~70%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삼고도 시행되지 못한 NIP 대상 확대가 차기 정부에서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1대 대선에서 여야 후보는 HPV 등 질병 예방에 대한 보장성 강화를 한 목소리로 약속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시범사업 추진…"24시간 의료지원"
보건복지부는 고령·중증 장애인에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은 고령화 및 중증화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에게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거주시설을 칭한다. 현행 장애인거주시설 기준으로는 24시간 집중 지원이 필요한 장애인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지부는 인력·설비 기준을 달리한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 모델을 새롭게 마련해 시범사업에 나섰다. 의료집중형 장애인거주시설은 간호사 등 돌봄인력을 추가 배치해야 하고 중증 장애인에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갖춰야 한다. 시범사업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시도 광역자치단체는 관내 장애인거주시설 중 시범사업에 참여할 시설을 선정한 후 신청서와 사업계획서 등을 작성해 다음 달 11일까지 복지부에 신청하면 된다. 복지부는 시범사업 대상 지역 1곳을 선정해 간호사 및 돌봄 인력 추가 배치를 위한 인건비, 시설 리모델링 및 의료 장비 등을 지원한다. 선정된 지역은 인력과 설비 등을 갖추고 이르면 올해 12월 의료집중형 장애인 거주시설을 개소할 예정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임신 중 초미세먼지 노출 시 태반 손상·태아에 악영향"
임신 중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되면 태반의 미세구조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태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김영주 교수 연구팀은 2020∼2023년 사이 임신부 약 900명을 임신 중 PM2.5 노출 수준에 따라 고노출군(15μg/m³초과)과 저노출군(15μg/m³이하)으로 나눠, 이들의 태반 조직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태반을 정밀 분석한 결과, 초미세먼지 고노출군에서는 태반의 융모막세포 영역에서 미세융모의 소실·단축 등 심각한 구조적 변화가 발견됐다. 초미세먼지 고노출군에서는 태아의 모세혈관 내 미토콘드리아의 이중막 구조 손상도 나타났다. 또 이들의 혈액 내 산화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하자 산화에 의한 손상을 나타내는 물질인 말론디알데히드(MDA)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초미세먼지로 인한 산화스트레스가 태반 손상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임신 중 초미세먼지 노출은 호흡기뿐만 아니라 태반의 기능적 손상을 일으켜 태아 발달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결론 내렸다. 김 교수는 "초미세먼지가 태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