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2/art_17482978963475_e25243.jpg)
주로 소아청소년과나 산부인과 환자들이 이용하는 병의원 1인 상급병실의 하루 비급여 진료 평균 요금이 지역별로 최대 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하루치 평균값을 기준으로 경북의 지난해 1인 상급병실 비급여 진료 비용이 10만7천948원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쌌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20만원을 넘은 서울(21만3천882원)의 2분의 1 수준이다.
1인 상급병실의 비급여 진료 비용 전국 평균은 15만3천604원이었다.
병원별로 살펴보면 1인 상급병실료의 전국 최젓값과 최곳값의 차이는 더욱 컸다.
부산 연제구의 한 병원은 1인 상급병실료가 5천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저렴했다.
반면 서울 강남구에서는 1인 병실료가 300만원에 달하는 곳도 있어 부산 연제구와는 무려 600배나 차이 났다.
지난해 3월 한 달간 전국 1인실 상급병실 비급여 진료 비용은 523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병원급 의료기관이 455억원, 의원급 의료기관이 68억원을 차지했다.
1인 상급병실에서 진료과목별로 비급여 진료는 소아청소년과가 138억원(26.3%)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산부인과(119억원·22.7%)도 비슷한 규모였다.
김미애 의원은 "새 정부는 병원별, 지역별 가격 비교가 가능하도록 가격 정보 투명화 플랫폼을 개발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비수도권 병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환자의 지역별 의료비 부담 형평성을 개선하고, 의료기관 간 과도한 경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각적인 정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