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로 모기 유인해 '찰칵'…"AI로 종류·밀도 자동 분석"

질병청 개발 모기 감시장비 AI-DMS…"모기 5종 95% 정확도로 분석"
청주 등 전국 5곳 설치…"자동 분석으로 감시 소요시간 7→1일 단축"

  살아있는 모기가 든 종이컵을 인공지능 기반 모기 감시장비(AI-DMS) 흡입구에 대자 '윙'하는 소리와 함께 모기가 빨려 들어갔다.

 이내 소리가 멈추더니 장비 안에서 죽어 널브러진 모기가 평평한 판 위로 배출됐다.

 장비는 '찰칵'하고 모기 사체를 촬영한 뒤 실시간으로 모기의 종류를 식별해 해당 종류 모기의 지역별·시간대별 일일 밀도 현황을 자동으로 분석했다.

 AI-DMS는 질병청이 3년간의 연구개발(R&D)을 통해 자체 개발했다.

 총 6대가 제작돼 파주, 동탄, 청주, 부산 을숙도, 순천만 습지 등 5곳에 설치됐다.

 남은 1대는 해외협력 차원에서 아프리카 남수단에 파병된 한빛부대에 올해 8월에 설치할 예정이다.

 2028년까지 태국,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시아 3국에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질병청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모기 감시장비(AI-DMS)

 장비는 모기가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곳에 접근한다는 점에 착안해 제작됐다.

 이산화탄소 통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내뿜으면서 동시에 바깥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구를 통해 장비에 접근한 모기를 채집하는 식이다. 채집된 모기는 종 분석을 위해 사진 촬영을 한 뒤 폐기된다.

 장비는 AI 기술로 현재 국내에서 주로 관찰되는 모기 5종(작은빨간집모기·빨간집모기·흰줄숲모기·금빛숲모기·얼룩날개모기류)을 95% 이상의 정확도로 식별한다.

 향후 학습을 통해 9종까지 분석을 확대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고열을 동반하는 급성 열성 질환인 뎅기 바이러스를 옮기는 흰줄숲모기는 청주에 설치된 이 장비를 통해 하루 평균 100마리 정도가 잡힌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모기를 채집하고 종류를 분석해 감시에 일주일가량이 걸렸는데, 이 장비를 활용하면 24시간 이내로 시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희일 질병청 매개체분석과장은 "AI-DMS는 현장에서 모기를 채집하고 알아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비"라며 "해외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모기를 채집하는 장비가 있지만 분석은 실험실에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진드기를 채집·분석하는 AI 기반 감시장비를 개발해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방제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